[방통대 간호학과] 3학년 2학기 인간과교육 -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유*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교양과목 | 학년 | 공통 |
---|---|---|---|
과목명 | 인간과교육 | 자료 | 100건 |
공통 |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15점 만점)
2.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15...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15점 만점)
2.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15점 만점) |
소개글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2.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목차
1. 주입식 교육관2. 성장식 교육관
1) 자연주의 교육관
2) 진보주의 교육관
3) 실존주의 교육관
3.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의 교육적 시사점
1) 주입식 교육관의 교육적 시사점
2) 자연주의 교육관의 교육적 시사점
3) 진보주의 교육관의 교육적 시사점
4) 실존주의 교육관의 교육적 시사점
4.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이론
5.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주입식 교육관이란?동서양을 막론하고 전통적인 교육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교육관으로 주입식 교육관에 따르면 교육이란 가르치는 사람이 배우는 사람에게 어떤 지식이나 기술을 전달하고 익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주입식 교육관의 바탕이 되는 인간관과 사회관을 보면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사회가 만들어 놓은 기존의 문화를 습득함으로써 인간이 된다. 주입식 교육관에 따르면 사회가 개인보다 우선으로 사회적인 것에 개인을 길들이는 것이 일차적이며 개인에 대한 고려는 이차적인 것으로 여긴다.
교육은 기존의 사회적 지식이나 가치관을 개인에게 가르치기 위한 사회적 목적에서 이루어지며 교육의 주된 관심과 동기는 사회적 목적의 성취에 있다.
그러므로 개인은 사회가 제시하는 기존의 지식 체계나 신념 체계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적응해 나가는 존재로 여긴다. 주입식 교육관에서 교육을 통해 가르치려는 지식과 가치는 사회가 축적해 놓은 것으로 이것을 통해 전달하려는 사회적 지식, 신념체계는 당연히 올바른 것이므로 배우는 사람들에게 주입해야 한다. 주입식 교육관에서 선생의 역할은 개개인의 흥미나 자발성에 상관없이 학생에게 주입해야 하는 책임이 있고 권한을 부여 받아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방식을 동원할 수 있고 처벌도 할 수 있다.
현대의 교육관 중에서 주입식 교육관을 대변하고 있는 것은 행동주의 교육관 이다. 행동주의 교육관은 교육은 인간 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고 통제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본다.
2. 성장식 교육관이란?
성장식 교육관은 주입식 교육관과 모든 점에서 대비되는 교육관으로 교육이란 배우는 사람의 내부에 잠재해 있는 가능성들이 자연스럽고 올바른 방향으로 커 나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으로 정의되며, 교육의 중심이 교사나 교과 내용이 아니라 아동에게 있다고 본다.
1) 자연주의 교육관
자연주의 교육관은 주입식 교육관에 대한 비판을 통해 제기되어 온 것으로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존중하는 민주주의 사회의 대표적인 교육관이다.
참고 자료
조화태, 김계현, 전용오 공저. 인간과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2014Adele Pillitteri(원저).김희숙 외 9명. Child Health Nursing. 군자출판사.2006
한지윤, 강선보. 2016. 실존주의 성인교육철학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연구(구 안암교육학연구), 22(2): 77-109
제석봉. (2000.3). 도덕발달을 위한 종교교육. 종교연구, 19, 187-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