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와 논술 D형] 1.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점들을 간략히 살펴본 후 자신의 의견을 개진 2. 장문의 편지 작성
*대*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교양과목 | 학년 | 공통 |
---|---|---|---|
과목명 | 세상읽기와논술 | 자료 | 11건 |
D형 |
1.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관련하여 제기된 논점들을 간략히 살펴본 후 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해보시오.
2. 가족들이나 지인들 중 한 사람을 택해 격려나 화해, 감사, 회한 등의 상념을 담은 장문의 편지를 써보시오.
1.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관련하여 제기된 논점들을 간략히 살펴본 후 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해보시오.
2. 가족들이나 지인들 중 한 사람을 택해 격려나 화해, 감사, 회한 등의 상념을 담은 장문의 편지를 써보시오. |
소개글
1. 과제물 지침사항에 맞게 역사교과서 국정화 이슈를 정리했으며, 이에 대한 의견을 작성했습니다.2. 장문의 편지글을 직접 작성했습니다.
목차
1.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관련하여 제기된 논점들을 간략히 살펴본 후 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해보시오.I. 서론
II. 본론
1. 2000년대 이후 역사 교과서에 대한 왜곡 경향
1) 2002년∼2003년 ‘국민의 정부’ 미화 논란
2) 2004년∼2005년 금성출판사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좌편향 논란
3) 2008년 뉴라이트 진영 교과서 포럼, 대한교과서 출간
4) 2011년 ‘민주주의’ 대 ‘자유민주주의’ 집필 기준 논란
5) 2013년 현대사학회의 고교 교과서 1차 검정 통과 논란
6) 2015년 중등 “역사” 및 고등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확정 한겨레신문, 2015년 11월 4일 수요일, 1면.
III. 결론 (나의 의견)
참고문헌
2. 가족들이나 지인들 중 한 사람을 택해 격려나 화해, 감사, 회한 등의 상념을 담은 장문의 편지. 직원들과의 관계 개선에 힘들어 하시는 아버지께 보내는 편지
본문내용
I. 서론2015년 11월 3일, 박근혜 정부가 중등 역사와 고등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확정 고시하는 역사적인 사건을 저질렀다. 2015년 10월 12일, 황우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발행하는 내용의 ‘중·고등학교 교과용 도서 국·검·인정 구분(안)’을 행정 예고하였으며, 11월 5일의 확정고시 기일을 기다리지도 않고 2일이나 빨리 발표하였다. 진보·보수 이념과는 상관없이 여론은 반대쪽으로 확연히 기울어졌지만, ‘청소년들을 위해서’라는 명분을 내세워 국정화를 단행하였다. 이는 1973년 4월 20일 박정희 독재정권이 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전환을 발표한 지42년만의 일이며 2014년 2월 13일 박근혜 대통령이 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 업무 보고에서 “사실에 근거한 균형 잡힌 역사 교과서 개발 등 제도 개선책을 마련해 주기 바란다.”고 지시한 이후 1년 8개월만의 일이다.
전 세계에서 교과서를 국정으로 하는 나라는 손꼽을 수 있을 정도이며, 그 중에 북한이 국정화를 실시하고 있는 나라에 포함되어 있다. 미국·영국·유럽 각국의 선진국들은 검정제·인정제를 비롯하여 심지어 자유발행제를 채택하고 있다. 심지어 누군가에게 홀린 듯이 한국사 교과서에 국정화에 앞장서고 있는 당 대표를 비롯한 여당조차도 자기모순에서 벗어나지를 못하고 있다. 새누리당의 당내 연구기관인 여의도 연구원이 2013년 펴낸 정책 보고서에서는 “자유민주주의 이념과 맞지 않고, 특정 정권의 치적을 미화할 수 있다.”라고 사실상 국정화 반대 입장을 보였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현행 고등 한국사 교과서에서도 충분히 구현되고 있는 내용들을 ‘사실 오류·편향성 수정’, ‘다양성의 확보’, ‘질 관리 체계 구축’, ‘헌법 가치 수호’ 등의 왜곡되고 편향적인 방향으로 몰고 가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역사”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를 발표하기까지의 배경과 목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반론과 대응에 대하여 정리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대현(2011). 교육과정의 이해. 학지사.김한종 외(2005).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책과 함께.
양호환(2011). 한국 역사교육의 연구동향. 책과 함께.
강영철 외(2003). 국사 교과서 발행제도 개선 연구. 국사편찬위원회.
이병련(2000). 역사 교과서의 의미와 서술기준 그리고 분석의 기준에 대하여. 사총.
김민정(2013). 역사교과서 체제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과 개발 방향. 교육과정평가연구.
김민수(2014). 역사교사들의 교과서 선정 기준과 교학사 교과서. 역사와 현실.
구경남(2014). ‘2009년 역사교과서 재판’으로 본 역사교육의 정치적 도구화‘ 역사와 담론, 호서사학회.
김육훈(2014), 한국사 교과서 국정 전환 논리와 문제점, 역사와 교육 10, 역사교육연구소.
김한종(2014), 한국사 교과서 검정 파동의 원인과 과제, 역사와 현실 92, 한국역사연구회.
서인원(2015), 중등 “역사”·고등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반론, 역사와 실학 58, 역사실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