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의이해 D형] 한국의 석유화학산업에 관해 논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5.03.29
- 최종 저작일
- 2015.03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과제정보
학과 |
경제학과 |
학년 |
3학년 |
과목명 |
한국산업의이해 |
자료 |
2건
|
D형 |
한국의 석유화학산업에 관해 논하시오.
한국의 석유화학산업에 관해 논하시오.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 석유화학산업이란
2.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발전
1) 초기 단계(1960년대)
2) 육성기(1970년대)
3) 성장기 및 확장기(1980~90년대)
4) 재확장기(2000년 이후)
3.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흐름
4.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현재
5.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국산화를 통한 나아가야 할 방향
1) 부가가치 증대
2) 수입대체
3) 무역수지 개선
4) 고용증대
5) 기술 진보효과
6.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석유화학산업(Petrochemical Industry)은 석유(나프타)와 에탄, LPG 등 천연가스 추출물을 원료로 에틸렌ㆍ프로필렌ㆍ부타디엔 등의 올레핀계 및 벤젠ㆍ톨루렌ㆍ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기초유분을 생산하는 분야와 이들 기초 유분을 원료로 합성수지ㆍ합성섬유원료ㆍ합성고무 등을 제조하며, 이들 합성 유도품을 가공하거나 반응을 통하여 최종제품을 만드는 기초소재 산업뿐만 아니라 의약품ㆍ농약ㆍ염료ㆍ도료ㆍ화장품 등의 정밀화학제품과 화학비료ㆍ산ㆍ알칼리ㆍ화학펄프ㆍ제지 등의 기타화학제품을 제조하거나, 이들의 원부자재로 쓰이고 있어 인접 산업과도 직간접적으로 광범위하게 관련되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산업이다. 또한 석유화학산업은 시장 확대, 공업생산의 증가 및 원유가격의 안정에 의한 가격 경쟁력 확보라는 경제적인 측면과 공정 및 chemical engineeringㆍ고분자 및 정밀화학의 진보 등 기술개발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대규모 설비에 의한 가격 경쟁력을 제고시켜줌으로써 의ㆍ식ㆍ주 전분야에 걸쳐 활용되어 인류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하고, 경제성장에도 크게 기여하여 왔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한국의 석유화학산업에 관해 논해 보겠다.
Ⅱ. 본론
1. 한국 석유화학산업이란
석유화학산업은 기초 소재 산업으로서 자본집약적 콤비나트형 장치 산업 및 고부가가치 창출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즉 첫 번째, 석유화학은 산업 구조측면에서 철강산업과 함께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기간산업이며 소재산업이다. 따라서 석유화학 산업의 발전은 우리의 수출주도산업인 자동차, 섬유, 전차, 정밀화학, 플라스틱 가공 산업 등 전방 산업의 안정적 원료확보 및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국민경제 차지하는 위치 및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석유화학산업은 나프타 분해 공장을 모체로 기초유분 및 관련 유도품 공장이 계열화되어 콤비나트 종합산업 형태를 이루는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이다.
참고 자료
이장호, 국제경영전략, 박영사, 2006.
한국석유화학협회, 석유화학편람, 2013.
류동근 외, 해운기업 경영론, 2009.
박찬영, 중동 석유화학 산업 동향 및 전망, 2013.
이진주 외, 산업기술수준측정에 관한 시도, 한국개발연구, 1979.
김원배 외, 한국석유화학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7.
김성곤, 석유화학공업단지 안전관리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방재공학과 방재공학 전공, 2006.
심재원, 석유화학 산업의 현황분석 및 정책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