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태범, 남궁근, 「한국정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3.
· 부패방지위원회, 「공무원의 책임성 확보와 공무원 행동강령」, 2002.
· 참여연대 공개토론회, 「공직자윤리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2002.
· 한국행정학회, 「공직자윤리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2003.
· 윤태범, 「공직윤리 확보를 위한 이해충돌 회피의 제도화 방안」, 2004.
· 교육인적자원부 감사관실, 「2008년도 공직윤리업무 추진지침」, 2007.12.16.
· 행정안전부, 「확 달라진 공직윤리제도」, 2011.
· 안전행정부 윤리담당관실, 「7월부터 퇴직공직자 취업심사 결과 전면 공개」, 2014.
· 서울신문, 「공직사회 머리부터 발끝까지 쇄신하라」, 2014.04.25.
· 매일신문사, 「관피아 척결 없이는 국가의 미래도 없다」, 2014.04.28.
· 동아일보, 「관피아 척결, 국민이 명령한다」, 2014.04.29.
· 헤럴드경제, 「관피아 사슬고리 김영란법으로 끊어내야」, 2014.05.14.
· 이데일리, 「관피아를 제대로 척결하려면」, 2014.05.14.
· 파이낼셜뉴스, 「김영란법을 세월호 후속입법 1호로」, 2014.05.16.
· 연합뉴스, 「공기업 임원 3명 중 1명은 관피아」, 2014.05.18.
· 머니투데이, 「걸리면 징역 3년, 관피아 처벌 강화, 의원들 생각은?」, 2014.05.23.
· 이데일리, 「관피아-낙하산 척결 위한 공직자윤리법 어떻게 손볼 것인가?」, 2014.05.24.
· 국민일보, 「관피아 못 막는 공직자윤리위 존재 의미 있나」, 2014.06.04.
· 중앙일보, 「관피아는 정경유착·부정부패의 원인이다」, 2014.07.01.
· 서울경제, 「정년보장도 안 하면서 관피아 규제만 해서야」, 2014.07.15.
· 세계일보, 「관피아 독버섯 키우려 공직자윤리법 뭉개고 있나」, 2014.08.01.
· 세계일보, 「관피아 척결할 '김영란법' 신속히 제정하라」, 2014.08.07.
· 연합뉴스, 「안행부·경찰청·방재청 산하기관 '관피아' 69명」, 2014.08.17.
· 연합뉴스, 「관피아 방지법 따라 선출직 기업복귀 첫 제동」, 2014.09.01.
· 한겨레, 「관피아 척결 말뿐..퇴직뒤 취업 공직자 22%가 관련업체에」, 201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