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2학기 방송통신대학교 정보통계학과 데이터분석사례연구 과제물
*동*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통계·데이터과학과 | 학년 | 4학년 |
---|---|---|---|
과목명 | 데이터분석사례연구 | 자료 | 2건 |
공통 |
1. 과학적 방법 중 ‘논리적 추론’의 두 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각각의 개념을 예를 들어 설명하여라. (교재의 예를 참조하되 새로운 예를 제시할 것) (7점)
2. IMARD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또한, 본인의 관심 영역의 연...
1. 과학적 방법 중 ‘논리적 추론’의 두 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각각의 개념을 예를 들어 설명하여라. (교재의 예를 참조하되 새로운 예를 제시할 것) (7점)
2. IMARD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또한, 본인의 관심 영역의 연구논문을 찾아 IMARD 구조로 분해하고 논문의 각 파트를 간단히 요약하여라. (15점) 3. 연구윤리 저촉의 대표적인 예로서 ‘연구부정행위’를 들 수 있다. ‘연구부정행위’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열거하고 각각에 대해 사례를 들어 설명하여라. (교재의 예를 참조하되 새로운 사례를 조사하여 제시할 것) (8점) |
목차
1. 과학적 방법 중 ‘논리적 추론’의 두 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각각의 개념을 예를 들어 설명하여라. (교재의 예를 참조하되 새로운 예를 제시할 것) (7점)1) 연역적 논리 체계
2) 귀납적 논리 체계
3) 연역적 논리와 귀납적 논리의 관계
2. IMARD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또한, 본인의 관심 영역의 연구논문을 찾아 IMARD 구조로 분해하고 논문의 각 파트를 간단히 요약하여라. (15점)
1) IMARD 구조
2) “이동성향에 따른 1인가구의 지역별 분포 특성(2012)” 연구논문의 IMARD 구조 분해 요약
3. 연구윤리 저촉의 대표적인 예로서 ‘연구부정행위’를 들 수 있다. ‘연구부정행위’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열거하고 각각에 대해 사례를 들어 설명하여라. (교재의 예를 참조하되 새로운 사례를 조사하여 제시할 것) (8점)
1) 연구 부정행위의 개념
2) 연구 부정행위의 성립
3) 연구 부정행위의 영향
4) 연구 부정행위 대책
5) 연구 부정행위의 사례
본문내용
과학적 이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연역적 논리(deductive logic)와 귀납적 논리(inductive logic) 두가지가 있다. 연역적 방법은 규칙과 원리에서 시작하여 규칙과 원리에 부합되는 구체적인 현상을 이끌어내는 사고 방법이다. 반대로, 귀납적 논리는 관찰과 데이터로 시작해서 관찰 및 데이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원리를 이끌어내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1) 연역적 논리 체계
연역적 논리는 이미 알고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명제를 전제로 하여 명확히 규정된 논리적 형식들에 근거해 새로운 명제를 결론으로 이끌어 내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지식은 연역적 추리에 관련된 많은 문제, 즉, 애매와 모호의 구조를 밝히고 오류의 유형을 나누며, 추상ㆍ정의ㆍ분류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의미의 표준을 제시하며, 번역의 가능성 등을 주요 과제로 하고 있다.
연역적 논리는 이론적 전제에서 출발하여 가설 조작화 관찰 검증의 과정을 거치는 접근방법으로 공리(axiom) 등 일반적인 전제에서 출발하여 가설의 연결과정을 진술함으로써 특정 현상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행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이론적 결론을 도출한다.
연역적 논리의 방법은 하나의 전제에서 결론이 도출되는 직접 추리와 2개 이상의 전제에서 결론이 나타나는 간첩 추리로 나뉜다. 그 중에 ‘대전제 → 소전제 →결론’의 형식으로 나타나는 삼단논법(syllogism)이 간접 추리의 전형적인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삼단논법에 의해 추출된 이론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소크라테스는 죽는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검증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논리를 전개시켜 경험적으로 검증할 때 과학적 사실이나 법칙을 발견하게 된다. 논리와 경험이 이러한 형태로 결합되어 하나의 이론이나 지식으로 완성되는 것이 연역적 논리 체계다. ‘소크라테스(Socrates)의 죽음’을 설명하기 위해 가설과 조작화의 전제를 통해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이를 사실로 인정하는 것이 연역적 논리다.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