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셀리에가 명명한 일반적응증후군에 대하여 간단히 요약하시오.
2. 경고단계에서 교감신경계, 뇌하수체-부신피질계의 활성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일반적응증후군에서 저항단계와 소진단계를 각각 기술하시오.
4. 일반적응증후군 모형의 제한점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5. 스트레스에 의한 신체적 질병에 대하여 요약 정리하시오.
6. 스트레스에 의한 심리적 질병에 대하여 요약 정리하시오.
7. 스트레스에 의한 불안장애 및 치료에 대하여 적으시오.
8. 스트레스의 정서중심적 대처와 문제중심적 대처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9. 스트레스의 개인관리 중에서 동기관리와 인지관리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10. 자신만의 스트레스 탈출법 및 스트레스 해소 생활법에 대하여 적으시오.
본문내용
1. 셀리에가 명명한 일반적응증후군에 대하여 간단히 요약하시오.
셀리에(Selye,1976)는 스트레스원이 무엇이든지 유기체는 동일한 스트레스반응을 보인다고 하고 그러한 스트레스반응을 일반적응증후군(General Adaptation Syndrome)이라고 명명하였다. 일반적응증후군은 경고단계(alarm), 저항단계(resistance), 소진단계(exhaustion)의 3단계로 구성된다. 처음 스트레스원이 나타나면 강도 높은 스트레스반응인 경고반응이 나타난다. 경고단계에 의해 스트레스원이 제거되지 않으면, 신체는 낮은 수준의 스트레스반응인 저항단계로 넘어간다. 저항단계에서 스트레스원에 대한 대처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신체는 회복을 하게 되지만, 그렇지 못하게 되면 신체는 소진단계를 맞게 되어 질병이 발생하며 이것이 계속 지속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2. 경고단계에서 교감신경계, 뇌하수체-부신피질계의 활성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교감신경계의 활성화
교감신경계는 자율신경계에 속한다. 자율신경계는 우리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여러 선(腺,gland ; 내분비선 및 외분비선)과 장기의 기능을 통제한다. 자율신경계는 크게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구분된다.
교감신경계는 에너지를 소모하는 방식으로 작용하며, 부교감신경계는 에너지를 비축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위급상황에 놓였을 때는 주로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에너지를 최대한 동원하고, 골격근 근육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만들고, 그렇지 않을 때는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소모된 에너지를 다시 비축하게 된다.
위급상황에 놓이게 되면 시상하부의 작용으로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된다.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는 여러 장기와 내분비선에 대하여 작용한다. 또한 교감신경계는 신장위에 덮여있는 내분비선인 부신의 내부 즉, 부신수질에 작용하여 에피네프린을 방출시킨다. 이들은 혈액내로 방출되어 스트레스에 대하여 대처 할 수 있도록 온몸에 영향을 준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