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이상심리학 역사 – 필립 피넬(프랑스, 정신질환자 인권 중시 ) / 크레펠린(독일, 신체적 원인론, 정신병을 조울증과 조발성 치매로 구분하여 설명 ) / 히포크라테스(고대 그리스, 4체액설 주장 ) / *웨이어(르네상스, 정신질환자 치료 위한 수용시설 인정&수용 ) 현재 ( 신체-심리 상호작용(통합적) 측면에서 접근 )
* 이상심리학 목적 – 인간의 심리적 불행 원인과 해결방법에 관심,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를 현상적으로 기술 및 분류, 치료방법 및 예방방안 강구
* 타당도 – 측정하고자 하는 변인을 검사가 제대로 측정했는지
* 신뢰도 –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일관성 있게 측정했느냐
* 발병률 – 대상 집단에서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질병 등을 새롭게 지니게 된 대상의 수적 비율
* 유병률 – 대상 집단에서 특정 상태를 지닌 대상의 수적 비율
* 이상행동 – 심리기능 손상 > 측정 가능한 개인의 부적응적 행동
* 정신장애 – 특정한 이상행동의 집합체
* 이상행동 판별 – 개인이 사회문화적 규범에 적응X > 과도하게 일탈하는 경우 / 통계적 평균 중심에서 정상범위 벗어난 경우 / 개인이 스스로 경험하는 고통이 현저한 경우, 개인의 고통과 *‘주관적’불편함, 사회문화적 규범으로부터의 일탈, 법적 기준( 금치산자 등의 법리적 용어로 이상행동 구분 ) , 전문적 기준
[ 이상행동 평가 ]
자기관찰법* ( 자신의 모습 왜곡해서 보고할 가능성 높다 )
생리적측정법 ( 객관적 자료 얻는데 용이함 )
구조화된 면접 ( 신뢰도 높다 )
유사관찰법 ( 자주 관찰되기 어려운 행동 관찰하는데 용이함 )
* 이상행동의 분류 – DSM-5 ( *범주적, 차원적 진단체계 사용, cf 다축진단체계 폐지 ) / DSM-IV 의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장애, 아동기 붕괴성 장애 등 > DSM-5로 통합 / DSM-IV에서 불안장애 범주의 강박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각각의 범주로 분리 / DSM-5에서 도박장애가 물질 관련 및 중독장애로 새롭게 들어감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