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시험대비 정리본 A+ - 신생아의 건강문제, 순환기능 장애, 면역기능 장애 아동의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제 6장 신생아의 건강문제 (기도유지, 체온, 영양, 면역, 애착형성) -고위험 신생아 확인
II. 18장 순환기능장애 아동의 간호_선천 심장병
1. 심혈관 기능장애(Cardiovascular dysfunction)
2. 선천심장병(Congenital heart disease, CHD)
III. 19장 면역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본문내용
-고위험 신생아 확인
: 재태기간과 출생시 체중과 상관없이 출생과 관련된 정상적 과정이나 자궁외 생활의 적응에 서 보통보다 이환율 또는 사망률이 더 위험한 신생아
▶고위험 기간 : 산전, 주산기(제태기간 28주~ 생후 1주), 산후 기간
⟶ 출생 후 28일 동안의 생존력은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기간
1)고위험 신생아 분류
▶체중에 따른 분류 (NSVD 정상분만: 제태기간 37주 이상, 출생무게 2.5kg 이상, 아기 1명)
-체중 및 제대기간과 관련된 고위험 신생아
▶당뇨병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 모체의 포도당 농도가 높아 태아가 과도하게 성장하며, 당 뇨병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아동기에 청소년기 비만 가능
⟶ 출생직후 신생아 합병증: 저혈당, 황달, 호흡 곤란증, 거대아(체중 4.5kg 이상)
▶미숙아: 임신 37주 전에 태어난 신생아
: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아동 중 가장 많은 비율/ 출생아 중 미숙아 비율 16.2%(2016 년, 통계청; 책의 경우 6%, 2021년 9.2%)/ 고위험 신생아의 대부분이 미숙과 관련
⟶미숙아가 증가하는 이유? 의학기술의 발달로 신생아를 살려내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신생아 사망률이 감소되고 미숙아가 증가함.
1) 미숙아의 생리적 특징
▶호흡기 및 심장혈관생리; 폐 표면활성제를 충분히 생성하지 못해서 호흡곤란증후군(RDS)의 위험이 있다.
▶체온조절
미숙아의 열손실을 증가시키는 요인
체중 대비 체표면적이 넓다
단열 작용을 하는 피하지방이 매우 적다/ 피부가 얇고 투과성이 높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