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학2 중간고사 범위 요약정리 판매합니다.
순서는 학교마다 다르니, 배우시는 범위 확인하여 구매해주세요.
목차
1. 24챕터 산소화
2. 21챕터 영양
3. 26챕터 피부통합성과 상처간호
본문내용
(3) 저산소증
① 저산소혈증
a. 혈액 내 산소농도가 감소된 상태
b. 폐부종, 무기폐와 같이 폐포-폐모세혈관 수준에서 확산이 되지 않거나 혈색소가 감소되었을 때 발생
c. 저산소혈증을 보상하기 위해 심박수와 심박출량을 증가시켜 조직으로 적절한 산소를 운반하는데 심혈관계가 이를 보상하지 못해서 심각해지면 조직에서 저산소증이 나타남
② 저산소증 : 산소운반과 산소 이용의 결핍으로 조직세포에 산소가 부족한 상태
③ 원인 : 산소 운반능력의 감소, 흡입 산소농도의 감소, 혈액으로부터 산소를 추출하는 조직의 능력 부족, 폐에서 혈액으로의 산소 확산 능력 감소, 산소화된 혈액의 조직관류 부족, 환기능력 손상, 억제성 또는 폐쇄성 질환
④ 증상 : 빈맥, 빠르고 얕은 호흡과 호흡곤란, 안절부절못하거나 어지럼 증가, 벌렁거리는 콧구멍, 복장밑(흉골하) 또는 갈비사이(늑간)의 뒤당김(뒤축), 청색증 등
<중 략>
2) 욕창예방
2-1) 피부간호
① 모세혈관이 파괴되어 조직을 손상
: 뼈 돌출부위의 피부를 매일 사정하며, 붉어진 피부 부위는 조직손상을 의미하므로 마사지해서는 안됨
② 피부의 건조와 균열, 부종, 과도한 습기와 관련된 징후를 사정하며 뜨거운 물을 피부의 건조와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며, 비누는 피부의 산성도를 변화시켜 건조하고 피부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피부윤활제는 피부건강을 유지하도록 도우므로 사용하는 것이 좋음
③ 피부간호에 사용 가능한 제품은 다양하므로 대상자의 필요에 따라서 사용함
산도를 유지하는 세척제를 사용하며, 실금이나 실변 발생 후 티슈나 천으로 자극되지 않게 즉시 피부를 세척함
④ 습기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부위는 바셀린이나 무알코올 필름 제품을 스프레이 형태로 사용
대변이나 소변 같은 자극적인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쉽게 씻기도록 함
실금으로 인해 벗겨진 피부에 자극물질이 번지지 않도록 하고 청결상태를 유지하도록 산화아연연고 같은 보호연고를 사용
⑤ 묽은 변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 실변수집기로 실변을 수집할 수 있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