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성인,노인구강보건
1) 성인구강보건
(1) 개념
-18세~65세 미만 인구,
-청년:18~39세, 장년:40~64세
-성인구강보건: 성인 구강건강 증진, 유지시키는 원리 방법 연구
구강보건실태, 환경요인, 구강건강-성인의 심리적 현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2) 성인구강건강실태
-치아우식병, 치주병 축적, 발생, 진행, 상실
-사회적, 경제적인 여건상 구강진료 정기적 받지 못하는 환경
-예방진료 미활발
-구강병 효율관리 미비
-청년: 치아우식병 치료 필요, 치주병 진료 필요, 임플란트 가공의치 진료 필요
-장년: 치아우식병 치료 필요, 치수 치료 필요, 치주병 치료 필요, 발치 필요
임플란트 가공의치 진료 필요, 국부의치보철 필요
(3) 성인구강보건관리
-의치보철사업, 구강보건교육사업 개발: 구강진료자원 부족
-예방지향적이고 포괄적인 치학교육
-전문치의사제도 도입, 구강보건진료 전달 체계 확립
-치료, 재활: 민간구강
-예방, 조기치료: 직장별 계속구강건강사업
-치료중심, 지역사회 전체주민 대상: 예방지향적, 포괄적
-구강진료의 균점화, 구강진료비 부담경감 방책 강구
2) 노인구강보건
(1) 개념
-고령화: 65이상 인구 7% 이상
-고령: 65세 이상 인구 14% 이상
-초고령: 65세 이상 인구 20% 이상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