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폐경에 따른 변화
갱년기와 폐경의 의미
- 갱년기랑 폐경을 전후한 40-60세 사이를 의미
- 폐경은 난소의 기능이 상실
- 폐경으로 에스트로겐이 결핍되면 삼맥관계 질환, 비만, 골다공증 등 신체생리적 및 사회심리적 변화를 격게 됨
- 우리니라 여성의 평균수명과 폐경 연령을 고려할 때 여성이 인생의 약 1/3을 폐경상태로 지내게 되므로 갱년기 여성의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한 과제
폐경의 이행과정
(1) 생식생리의 변화
① 폐경 전기
- 10년 전부터 난소의 크기와 무게의 감소로 난포 수가 적어지고 에스트로겐과 inhibin 분비가 적하
- FSH의 혈중농도가 높아짐(정상치 : 5-10mIU/ml)
- 남포기가 짧아지고 월경주기가 23-25일로 단축
- 에스트로겐의 혈중농도(정상치 : 40-300pg/ml)는 월경주기의 중기나 후기에 낮지만 황체 기능은 대부분 유지되고 LH 농도는 변화 없음
② 주폐경기
- 난포기에 FSH농도가 24mIU/ml 이상으로 증가하여 21일 이하의 짧은 월경주기와 45일 이상의 긴 월경주기가 동반
- 안면홍조, 유방통이 나타남
③ 폐경 후기
- FSH 농도가 40mIU/ml 이상
- 최종 월경 후 1년 동안 월경 없으면 완전한 폐경으로 간주
(2) 폐경 후 성호르몬 분비의 변화
- 비만 여성이 저체중 여성보다 전환율이 높다, 비만 여성은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가 저체중 여성보다 증가되어 폐경증상은 저체중 여성보다 적다
신체적 변화
(1) 혈관운동계의 변화
① 원인
- 말초혈관이 갑자기 확장되었다가 수축되는 자율신경계의 부조화에 의한 것
② 증상
- 홍조, 발한과 야한, 무딘 감각과 얼얼하게 쑤심, 수족냉증, 심계항진, 두통, 현기증, 졸도 등
- 홍조란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모세혈관이 불규칙한게 확장되어 상부 가슴과 목에 갑자기 뜨거운 기운이 느껴지고 피부가 빨갛게 달아오르면서 얼굴, 머리, 팔로 열이 퍼져나가며 곧이어 땀이 나는 현상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