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전체 내용을 요약 정리한 노트입니다.
2. 시험 준비에 탁월하게 필요한 자료입니다.
3. 내신과 수능 등 모든 시험 준비를 위해 필요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국유교
2. 한국유교
3. 중국 불교
4. 한국 불교
5. 도가 사상
6. 근대 한국윤리 사상
7.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8.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9. 스토아학파와 에피쿠로스학파
10. 아우스티누스와 아퀴나스
11. 스피노자와 흄
12. 의무론과 공리주의
13. 실존주의와 실용주의
14. 이상사회론
15. 동서양의 국가관
16. 시민의 자유와 권리
17. 민주주의
18. 자본주의
19. 동서양의 평화 사상
본문내용
<1> 중국유교
1. 공자(孔子)의 사상
① 인(仁)과 예(禮)의 회복을 강조함
• 인(仁): 인간됨의 본질을 이루는 사랑의 정신이자 사회적 존재로서 완성된 인격체의 인간다움 → 인의 실천과 관련하여 효제(孝悌)와 충서(忠恕)를 강조함
• 예(禮): 외면적 규범 → 개인의 사욕을 극복하고 진정한 예를 회복하는 극기복례(克己復禮)가 필요함
② 군자(君子): 인과 예를 바탕으로 덕을 갖춘 이상적 인간
③ 정명(正名)과 덕치(德治)를 강조하고 공정한 분배를 바탕으로 한 경제적 안정을 중시함
2. 맹자(孟子)의 사상
① 인(仁)과 의(義)를 강조함
② 성선설(性善說): 인간에게는 선천적으로 선한 도덕심이 갖추어져 있다는 이론
• 사단(四端): 인간이 타고나는 도덕적 마음으로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을 일컬음
• 사덕(四德): 인의예지를 말하며 양지(良知)와 양능(良能)을 바탕으로 사단을 확충할 때 이를 수 있음
③ 대장부(大丈夫)․대인(大人): 크고 굳세며 올곧은 기개인 호연지기를 갖춘 이상적 인간 → 의로운 일을 꾸준히 실천하여 쌓는 집의(集義)를 통해 이를 수 있음
④ 왕도 정치와 민본주의: 민본주의적 혁명론인 역성혁명을 제시하고 경제적 안정[恒産]이 도덕적 마음을 유지[恒心]하는 토대라고 주장함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