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성인에 대한 이해
2~4주차 염증, 면역, 장기이식, 감염관리
5주차 통증간호
6~7주차 수술간호
본문내용
1. 성인의 발달단계별 특징
<Erikson의 발달단계>
① 성인초기(23세~39세) : 친밀감 vs 고립감
- 청년기 (18세~22세) / 성인초기(23세~39세)
- 부모로부터 독립 => 자율성과 자립
- 친밀감(결혼, 가정) vs 고립(지나친 경쟁력)
- 현실감각 -> 실제적 목표 수립
- 자아의식 발달 -> 사회성 발달
- 독립 , 사회성, 대인적응 원만
- 이성관계- 결혼, 출산, 취업
② 중년기(40세~64세) : 생산성 vs 침체성 위기
- 부모역할, 직업성취, 생산성 향상
- 빈 둥지 증후군 -> 자녀가 없어 허전
- 성에 대한 인식 변화 -> 부부는 동반자 상대(호르몬의 변화)
- 폐경기, 갱년기, 성적 변화
- 체중 증가, 비만, 만성질환
- 정기 건강검진
③ 노년기(65세 이상) : 자아통합성 vs 절망
- 다음 세대를 위한 유산- 죽음 준비
- 동년배 집단과 애착 형성
- 신체기능 감소, 만성질환
- 삶의 의욕 저하- 새로운 역할 : 조부모, 사회봉사
2. 노인의 간호문제
1) 사회 정서적, 심리적 변화
① 동년배 집단과 애착형성
② 지각과 반응시간 지연
③ 주의력 감소
④ 학습력 저하
⑤ 문제해결능력 저하 -> 보수적 경향
⑥ 기억력 감소 -> 최근 일(오래전 일은 기억 쉬움)
⑦ 성격, 습관, 가치관 변화 거의 없음
⑧ 삶의 의욕 저하
2) 신체 및 생리기능 변화
① 신경계
- 뇌세포 노화 -> 반응시간 지연 -> 사고나 손상의 위험 ↑
- 체온조절능력 감퇴 -> 열사병, 저체온 위험 증가
- 총 수면시간, REM 수면 ↓ -> NREM 수면 중 3.4 단계 수면 없음
근골격계
- 뼈의 밀도 감소 -> 골다공증, 병리적 골절이나 신장 감소
- 근력저하 -> 근육 위축 / 척추 후만증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