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학 기말고사 정리(심장병과영양/대사증후군/단백질의 체내기능/아미노산 폴/요소회로 등)
- 최초 등록일
- 2024.09.04
- 최종 저작일
- 2020.1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영양학 기말고사 정리(심장병과영양/대사증후군/단백질의 체내기능/아미노산 폴/요소회로 등)
목차
@심장병과 영양
@대사증후군
@단백질,
@단백질의 체내기능
@아미노산 폴
@요소회로
@단백질과 건강
@흡수유형
@에너지 요구량 계산
@비만
@비만판정
@운동효과
본문내용
@심장병과 영양
적절한 영양 공급은 정상인에서나 동맥경화성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에서나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일반인들의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의 가이드라인은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CVD)의 예방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CVD의 위험도를 줄이기 위해 ‘과일, 채소, 곡류, 견과류, 콩류, 어류(특히 fatty figh), 가금류, 살코기, 저지방 또는 낙농제품, 식물성기름등을 섭취하도록 강조하고 있다. 이런 식품들은 고밀도의 미량영양소와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고. 또 오메가 3지방산과 같은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다. 반면에 포화지방산과 트랜스지방산, 당분, 녹말이 적게 함유되어 있는 것이다.
- 과일과 채소 : 하루에 3번 먹는 사람은 하루에 1번 미만으로 먹는 사람에 비해 CVD 위험도가 27% 더 낮다.
녹색잎 채소와 carotenoids, 비타민C를 많이 함유한 식품을 섭취하면 심장병 예방에 더 효과적이다.
- 곡류와 섬유질 : 곡류를 섭취하면 CVD 위험도를 감소시키는데 이는 주로 곡물에 함유된 섬유소 섭취로 인한 것으로 본다. 곡류에 있는 다른 영양소들도 관련이 있는데, 다른 영양소에는 비타민, 식물성 에스트로겐, 페놀화합물, 오메가 3지방산, 저항전분, 그리고 무기질 등이 있다.
- 두류 : 동물성 단백질 대신 콩단백질을 섭취하면 혈청 콜레스테롤치가 낮아진다. 콩제품을 많이 먹는 한국이나 일본사람들이 동물성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서구인에 비해 심장질환이 상대적으로 적다. 콩 속에 있는 phytochemical은 약한 estrogenic activity 가 있어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