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총 30문항이며 그림과 답, 해설이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문항 수는 적지만 지문과 해설을 보며 확실하게 답을 알고자 하시는 분은 구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답은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어 아래 본문내용에서는 알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아래의 <보기>를 보고 6.25 전쟁을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보기> 가. 인천상륙작전 나. 낙
동강 방어선 설정 다. 휴전 라. 북한의 남침
① 라 – 나 – 가 - 다
② 다 – 라 – 가 - 나
③ 가 – 나 – 다 - 라
④ 나 – 가 – 라 - 다
⑤ 라 – 가 – 나 - 다
해설 : 정답은 라(북한의 남침) - 나(낙동강 방어선 설정) - 가(인천상륙작전) - 다(휴전)
2. 부산 범어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3.1 운동 당시 이곳에서 태극기를 제작하였다.
②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③ 의상이 창건하였다.
④ 경남의 3대 사찰이다.
⑤ 박제상의 부인 망부석 설화가 있다.
해설 : 박제상의 부인 망부석 설화가 있다.
3. 최치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치원은 절영도에서 활동을 하였다.
② 진성여왕에서 시무 10조를 올렸다.
③ 황소의 난 때 <통황소격문>의 격문을 보내 이를 물리쳤다.
④ 당나라에 유학을 가서 활동하였다.
⑤ 신라 말기 6두품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해설 : 최치원은 절영도가 아닌 기장 신선대에 갔다고 한다.
4. 근/현대 시작 부산의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38년대 일제는 신사참배를 강요하여 용두산에 신사를 설치하였다.
② 일제강점기 때 인구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③ 강화도 조약을 통해 3개의 항구가 개항되었다.
④ 일제강점기 도청을 진주에 빼앗기게 되었다.
⑤ 6.25 전쟁이 임시 수도로 설정하였다.
해설 : 일제강점기 도청은 진주에서 부산으로 이전해 온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