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장애, 해리장애 정리자료 입니다.
직접 교재나 관련자료 보면서 정리한 자료입니다.
시험 기간 때 이 자료만 보고 공부하였습니다.
빨간색 글씨는 중요한 부분이라 꼭 숙지해야되는 부분입니다.
파란색 글씨는 추가적으로 알면 좋은 부분입니다.
회색 글씨는 추가설명이라 참고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직접 교재나 관련자료 보면서 정리한 자료입니다.
시험 기간 때 이 자료만 보고 공부하였습니다.
빨간색 글씨는 중요한 부분이라 꼭 숙지해야되는 부분입니다.
파란색 글씨는 추가적으로 알면 좋은 부분입니다.
회색 글씨는 추가설명이라 참고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목차
1. 외상과 회복력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3. 기타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4. 해리장애
본문내용
1. 외상과 회복력
* 심리적 외상: 자신의 생존과 안전감을 위협하는 압도적으로 긴장스러운 사건으로 생기는 정서적 상태
예) 괴롭힘, 당황감. 아동학대, 성적학대, 고용차별, 경찰의 잔인함, 가정폭력, 전쟁, 자연재해 노출, 비극적인 사건을 목격하는 것
- 외상사건; 가족폭력, 가족구성원의 상실, 테러리즘, 자연적 재난
* 회복력(=탄력성): 심리적 외상을 경험할 때 설명할 수 있는 변수
- 위험요인의 영향을 줄이고 회복력(탄성)을 높이며 긴장스런 경험에서 회복함
- 긍정적 자기개념, 자기가치감,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 힘이 있다는 느낌과 관련
<회복력 향상 전략> ★
① 아동기 초기 시작
② 긍정적 문제 해결
③ 의사소통 및 대처기술을 배움
④ 시간이 지나면서 습득
⑤ 긍정적 가족지지&지역사회지지->회복력 발달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죽음, 심각한 손상, 성폭력과 같은 실제의 또는 위협받는 외상사건에 노출한 후 발생
* 외상사건; 직접 경험/목격/타인으로부터 알게 됨/혐오스러운 사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서 학습된 사건
1) 임상 경과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로 발전하는 경우에도 종종 외상사건 후 3~6개월 뒤 증상들 발생
- 1/3에서 만성증상으로 발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