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 미디어와 정치 이강형 교수님 수업 기말고사 대비 자료입니다.
실제 기출에서 그대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 시험 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기출(예상) 문제& 모범답안 수업 내용 바탕으로 정리해둔거고, A 받았습니다
목차
1. 여론 형성과정에서의 미디어 보도 기준인 사안 설정과 사안 정의에 대해 서술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미디어 효과 이론에 대해 서술하시오.
2. 여론 조사 보도에 있어 침묵의 나선효과와 제3자 효과 이론의 관련성에 대해 서술하시오.
3. 우리나라 언론보도의 문제점을 약술형으로 서술하시오.
4. 의제설정이론, 점화효과이론, 틀 짓기 이론의 관련성을 설명하시오. (언론보도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본문내용
1. 여론 형성과정에서의 미디어 보도 기준인 사안 설정과 사안 정의에 대해 서술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미디어 효과 이론에 대해 서술하시오.
사안 설정은 뉴스 가치성에 따른 뉴스 선발 기준으로, 어떤 사안을 뉴스로 보도하는지 기준을 마련한다. 공익성의 차원에서 사람들이 필요한 정보는 무엇인지, 무엇이 수용자의 욕구와 필요를 충족하는 정보인지, 사안의 근접성, 시의성, 관련성, 중요성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상업성의 차원에서 무엇이 독자의 관심과 흥미를 모으는지, 흥미와 신기성을 고려한다. 이윤추구와 이윤 생산 도구로서 필요한 것 또한 고려한다. 이를 무시하면 미디어의 경제적 존립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미디어 보도는 공익성과 상업성의 균형을 어떻게 맞추는지가 주요 고민이 된다. 사안 설정 기능은 미디어가 어떤 사안을 뉴스로 보도하는지에 따라 미디어 효과를 연구하는 의제설정이론과 점화이론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