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 Oral cavity]
- 구강은 음식물을 섭취하는 통로
- 구강 안의 구조는 치아, 혀가 있음(치아 저작 → 5신경이 수행)
- 타액은 pH 6.0~7.0의 약산성으로 프티알린 등을 포함
ㄴ 침은 음식물을 삼키기 쉽도록 부드럽게 하며, 프리알린은 다당류(밥)인 전분을 이당류(당의 구조가 2개)로 분해
[식도 Esophagus]
- 식도는 구강으로 들어온 음식물이 위로 이동하는 통로
- ☆ 특징 ☆ (기억)
1) 3개층으로만 이루어져있어, 장막이 없음
- 장막이 없음 → 쉽게 파열됨 → 암 조기 전이 → 예후 안 좋음 ☆
2) UES(상부식도괄약근)과 LES(하부식도괄약근)이 있으며, LES는 식도 질환과 관련성이 높음
- 식도: pH 5~6 약산성, 위: pH 2.2~2.5 강산성
압력↓
괄약근이 늘어남 → 역류로 인한 가슴앓이 증상 → 역류성식도염
교감신경 활성화 → 부교감신경제 투여
압력↑
괄약근이 쪼임 → 연하곤란, 이완불능증
부교감신경 활성화 → 교감신경제 투여
- LES(하부식도괄약근)
3) 소화를 시키지 못할 경우 선암이 아닌, 편평상피세포암이 발병
- 식도벽의 점액은 음식물이 잘 지나가도록 매끄럽게 해주며 식도벽을 보호
- 분문괄약근의 압력은 음식물을 삼킬 때 감소되어 음식물이 내려가고 그 이후 압력을 가함으로써
위로 들어간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되는 것을 막아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