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약관계법규_보건의료정책변화 보고서 [공공의료]
- 최초 등록일
- 2023.12.23
- 최종 저작일
- 2023.12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보건의약관계법규 과제>
보건의료정책변화 보고서 [공공의료]
목차
1. 정책변화가 필요한 사유
2. 정책변화 내용
3. 정책변화와 관련된 장단점과 이슈
4. 추후 개선방안
본문내용
1. 정책변화가 필요한 사유
오랜 기간 지속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은 전 국민으로 하여금 공공의료 강화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공감하도록 하였다. 2019년 12월 기준, 우리나라의 공공병원은 기관 수 5.5%, 병상 수 9.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도 공공병원 비중이 가장 낮은 편에 속한다. 그런 한국이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실제로 공공병원에서의 중환자실 병상 운영 비중이 작아 민간의료기관에 의존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민간의료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최신식의 시설이나 장비, 많은 인력을 보유하지 못한 공공병원에서 코로나 환자의 70% 이상을 수용하게 되면서 인력과 공공병상의 부담이 가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임준. (2022). 공공보건의료 강화 방안.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2(9), 6–22. https://doi.org/10.23062/2022.09.2
이고은,and 구가연. "코로나19 전후 언론보도에 나타난 '공공보건의료' 이슈 변화." SEOUL HEALTH ON AIR 건강정책동향 1.39 (2022): 1-11.
강희정. "2023년 보건의료정책 전망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315.- (2023): 7-23.
윤강재. "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의 한국보건의료체계의 변화와 과제." 보건복지포럼 290.- (2020): 34-49.
주영수. "코로나19가 보여 준 공공보건의료의 현실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311.- (2022): 2-4.
이은경. (2022).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공보건의료 인프라 강화 방안. 재정포럼, 2022(1).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윤강재. (2021). 포스트 팬데믹, 공공의료정책 방향과 공공의료 기관의 역할. 공공경제, 2021(6). 공공기관연구센터
서경화. (2019). 한국적 상황에서 공공의료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 대안. 의료정책포럼, 16(4), 60-66.
성종호 and 김정하. (2022). 한국 내 공공보건의료 개념의 문제점과 재설정. 의학교육논단, 24(1),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