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성인간호학 심혈관계 부정맥 정리"에 대한 정리 내용입니다.
깔끔하게 정리해서 가독성이 좋아 시험 공부할 때 보기 좋습니다.
목차
1. 심전도 개념
2.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동방빈맥, 동방서맥, 동성부정맥, 동성정지
3. 심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조기심방수축, 심방 발작성 빈맥, 심방조동, 심방세동
4. 방실접합부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방실접합부 조기수축, 방실결절 전도장애, 2도 방실블록(Mobitz I, II), 3도 방실블록
5.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심실조기수축, 심실빈맥, 다원성 심실빈맥, 심실세동
6. 각블록/각차단으로 인한 부정맥
7. 치료 및 간호
본문내용
정상상태
심전도
● 우심방 상부에 있는 동방결절(SA node)에서 60~100회/분의 전기적 자극을 내보냄
심전도계
➀ 동방결절에서 전기적 자극을 내보냄
➁ 자극이 심방을 통과하여 심방 수축이 발생
➂ 방실결절(AV node)에 도달한 뒤 잠깐 지체
➃ His 속을 타고 양쪽 각을 통해 좌우 심실로 내려감
➄ 자극이 푸르키니에 섬유에 전달
➅ 심실 수축 발생
* 방실결절에서 전기적 자극이 잠깐 지체하는 동안 심 실은 보다 많은 혈액을 채울 수 있게 됨
심박동수계산
➀ 표식이용: 6초 동안의 RR의 수 X 10 예) [두 번째 그림] 9 X 10 = 90회/분
➁ 300 ÷ RR 간격의 큰 칸수 예) [두 번째 그림] 300 ÷ 3 = 100회/분
➂ 1500 ÷ RR 간격의 작은 칸수 예) [두 번째 그림] 1500 ÷ 15 = 100회/분
➃ RR간격 이용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