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료경영과 관련 산업의 성장
(1) 의료경영이 필요한 기관의 구분 (Buchbinder and Thompson, 2010)
① 진료기관 (direct care setting)
-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환자, 주민, 고객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
② 비진료기관 (non-direct care setting)
- 의료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진료를 제공하지 않지만,
- 진료 제공시 필요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 직접적인 진료를 지원하는 조직
(2) 의료산업 관련 일자리 전망과 관리자 수요 전망
① 2012년부터 2022년까지 23% 성장 예측
② 입원 및 외래 진료기관에서 모두 다양한 형태의 관리자에 대한 수요 증가
③ 통원진료센터(outpatient centers), 공동개원(physicians practices)에서 수요가 빠르게 증가 예측
④ 대형 의료기관에서 많은 수의 관리자 수요 창출
⑤ 컨설팅 회사, 제약회사, 의료기기 회사, 의료관련 단체와 같은 비진료기관의 수요 증가
- 진료기와의 기능수행에 필요한 핵심적 지원 제공
- 진료기관의 폭발 전 관리직 수요 증가에 따른 비진료기관의 수요 증가
2. 의료조직과 경영자
(1) 의료기관의 특성과 관리의 역할
① 의료기관은 매우 복잡하고 역동적인 조직임.
② 따라서, 관리자는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하며, 직원들을 관리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
③ 의료경영 (health care management)
-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과 의료기관을 구성하는 부서, 팀, 조직구성원에게
- 리더십을 발휘하고, 나아갈 방향 제시하는 것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