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대학교 아동간호학 실습하시는 분들은
이 개념 요약본 그냥 정리해서 내면 되니까 구매 고고~~~~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신체계측 : 키
- 아동 연령에 따라 신장 측정 방법은 다름
- 영아나 유아 : 아동을 평평한 측정대에 눕힌 뒤 측정하고, 아동이 혼자 설 수 있을 때(2세 정도)까지 사용
-> 앙와위에서 다리를 펴고 발바닥을 수직으로 굴곡시킨 후 두정부에서 발 뒤꿈치까지의 길이를 줄자로 측정
- 2세 이상 : 검진자가 아동의 신발을 벗은 상태로 세워놓고 아동의 발뒤꿈치에서부터 표준화된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
* 검진자가 아동의 머리카락 때문에 신장을 추측하거나 더하지 않아야 함
체중
- 체중 측정 전 모든 체중계는 바늘이 영점을 가리키도록 저울을 맞추고 균형대가 정확히 중앙에 위치하는지 확인
- 영아의 경우 : 옷을 모두 벗긴 상태로 적절한 규격의 접시저울을 이용하여 영아의 경우 10g 단위까지, 큰 아동의 경우 100g 단위까지 잼
- 도움 없이 서거나 걸을 수 있는 연장아 : 성인용 체중계로 체중을 잴 수 있고, 속옷을 제외한 모든 옷을 벗고 측정
- 표준화된 성장 차트에 수치를 기록 함
두위
- 출생~36개월까지의 모든 아동에서 측정되고 방문 시마다 표준 성장 차트에 기록해야 한다(특히 대두증이나 소두증을 가진 아동의 경우).
- 표준화된 줄자를 양 눈썹 부분과 귓바퀴를 지나 머리 뒤쪽의 후두 융기(가장 튀어나온 부분)을 둘러서 측정한다.
- 가장 정확한 측정을 하기 위해 두 차례 이상 측정해 본다.
흉위
- 신생아(머리둘레 > 가슴둘레)만 측정
- 1세 후 : 머리둘레 = 가슴둘레
- 방법 : 줄자를 양쪽 유두 선을 지나 척추와 수직이 되는 선을 따라 등의 견갑골 아래를 지나는 둘레(흉곽을 두르고)를 호기와 흡기 사이에 시행
복위
- 줄자로 배꼽 바로 위를 지나 척추와 수직인 선을 따라 잼
(방광 상태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배꼽 아래는 부적절)
(제대 탈락 전 제대를 가로질러 측정하면 정확한 측정 불가)
- 복부팽만이 있다면 주기적으로 반복 측정
참고자료
· 박호란 외. 『아동간호학 상권』. 현문사. 2020
·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 2020
·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2020
·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Ⅱ』. 학지사메디컬. 2020
·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Ⅰ 』. 학지사메디컬. 2020
·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Ⅱ』. 정담미디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