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야수주의 - 마티스,루오,블라맹크,드랭,뒤피
2. 입체주의
1) 회화 - 피카소,브라크,후안그리
2) 조소 - 아르키펜코,립시츠,롯시니,로랑스,자드킨
3) 오르피즘 - 들로네,쿠프카,싱크로미즘
4) 황금분할,섹숑도르 - 레제,뒤샹형제,말레비치,파이닝어,글레이즈,메쳉제
5) 소용돌이,보티시즘
3. 표현주의
1) 표현주의 - 뭉크,앙소르,콜비츠,베커
2) 다리파 - 키르히너,놀데,헤켈
3) 청기사파 - 마르크,칸딘스키,클레,야블렌스키
4) 빈분리파 - 클림트,에곤쉴레
5) 슈투름 그룹 - 코코슈카
6) 조각 - 바를라흐,렘부르크
4. 미래주의
1) 회화 - 발라,세베리니,카라,루솔로,산텔리아
2) 조각 - 보치오니
3) 사진 - 마이브리지, 쥘마레,브라갈리아
5. 다다이즘
1) 취리히 다다 - 휴고발,아르프
2) 뉴욕 다다 - 피카비아,만레이,뒤샹
3) 독일 다다 - 하트필드,하우스만,슈비터스,에른스트
4) 독일 신즉물주의 - 그로스,오토딕스,베크만
6. 러시아 아방가르드
1) 광선주의 - 라리오노프,곤차로바
2) 절대주의 - 말레비치
3) 구축주의,구성주의 - 타틀린,로드첸코,엘리시츠키,페브스너,가보
7. 에콜드 파리파 - 모딜리아니,위틀릴로,수틴
8. 신조형주의
1) 신조형주의 - 몬드리안,니콜슨
2) 데스틸 - 반뒤스버그,리트벨트,반통겔루
3) 구체미술 - 막스빌,폰타나
9. 초현실주의
1) 초기 초현실주의 - 에른스트,미로
2) 초기 환상적 표현 - 샤갈,키리코,모란디
3) 1930년대 초현실주의 - 달리,마그리트,마송,탕기
4) 조각 - 곤잘레스,브랑쿠시
5) 제2초현실주의 - 오펜하임,도밍게스,벨머,신낭만주의,신초현실주의
10. 공간주의 - 폰타나
11. 멕시코미술 - 리베라,오로스코,시케이로스,칼로
12. 미국미술
1) 애시캔스쿨 - 헨리,글래큰스,슬로언
2) 정밀주의 - 데무스,쉴러,오키프
3) 아메리카 신페인팅,지역주의 - 우드,버치필드
4) 사회적 사실주의,장면회화 - 벤턴,벤샨,와이어스,호퍼
현대미술
야수주의(1905-1908)
기원
야수
보셀이 마르케의 작품에 대하여 ‘야수의 우리 속에 갇힌 도나텔로와 같다’고 하여 야수라는 호칭을 붙임
경향
주정주의
인간의 직관, 본능, 감성 등의 표현
명암 없는 평평한 색조의 대비, 형의 단순화, 거칠고 활달한 야수적 필치 등을 조형언어로 사용
배경
사회적
■개인자유
20세기 들어 극도로 복잡해진 문명 속에서 자유의지, 개인의 정서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 형성
사상적
▬이성X
물질문명 발달에 따른 여러가지 폐단으로 합리주의 정신에 대한 반항심, 이성 거부
감성, 본능, 상상력, 직관력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게 됨
문화적
▬살롱도톤느
기존미술계 기득권, 아카데미 살롱전에 대항하여 살롱 도톤느 설립하여 재야화파 등장
미술적
상징주의
세기말 우울과 재현미술 거부, 낙관적 주제 선호
인상파
밝은 색채
타성적인 화풍에 반기를 듦
신인상파
점묘를 면터치로 변환해서 사용
후기인상주의
회고전에 감명을 받아 인상주의 기법에서 설명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주관성, 색채성 강조하여 탄생
고흐
블라맹크, 드랭
센 강변에 거주하면서 다양한 강렬한 색채 통해 자유로운 표현 추구, 격렬한 정신의 표현
고갱
마티스, 마르케, 루오
순수 색채 구현의 조화로운 표현, 단순화된 선을 통한 장식적 모티브 제작
그림이 대상으로부터 독립된 색, 형에 의한 하나의 조형질서임을 확인시킨 점
특징
주제
▶자연모방 거부하고 비유럽적인 전통의 원시부족 미술품 그림
▶인상파같이 자연 직접 보고 그렸으나 회화의 주제에 대한 강렬한 표현적 감응을 담으려 함
공간
✱원근법을 무시하여 평면성
형태
♠단순화된 형태, 대담한 왜곡, 직접적인 화법
♠장식적이고 명암없는 평면적인 화면, 자유로운 붓터치
♠굵은 필촉을 사용해 병렬적으로 화면에 펼쳐 표현
색채
♥색채해방, 독립, 추상성 : 색채는 실재대상묘사수단이나 자연에 종속된 것이 아니라, 색채 그자체로서 작품의 주제 될 수 있음
♥순수한 감정 표현하는 매개체로 활용, 창조적 에너지의 생생한 근원을 순수하게 탐구
♥튜브에서 바로 짜내 격렬, 강렬한 원색
기법
★데포르마시옹 : 대상을 의도적으로 바꾸는 기법, 감정 표출, 조형의도의 강조 등 작가의 주관적 왜곡, 새로운 조형가능성
의의
◆색의 독립 선언으로 20세기 회화적 첫 혁명으로 간주
영향
독일 표현주의 : 저돌적인 색채 구사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