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문서는 문제형식의 자료로 각 문제에 대한 답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수목보호학 중간고사 범위 정리 및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주차 1차시 산림과 수목
•숲, 산림(山林), 삼림(森林), forest
•나무와 하층식생(下層植生)으로 덮인 넓은 면적의 토지
•집단적으로 자라고 있는 입목(立木), 대나무와 그 토지 (산림자원법)
•우리나라의 산림
-남한면적: 1,004만ha / 산림면적: 629만ha (2021년)
→ 국토의 62.6%
순위 OECD 국가 산림비율(%)
1 핀란드 73.7
2 스웨덴 68.7
3 일본 68.4
4 한국 64.5
• 세계의 산림
-지구면적: 510억ha / 육지면적: 149억ha
→ 지구의 29.2%
-산림면적: 40억ha → 육지의 26.8% (2018년)
•초본식물, 목본식물
-수목(樹木)
-목본식물, 木本植物, woody plant ↔ 초본식물, 草本植物, herbaceous plant
-유관속 형성층에 의하여 2차 생장을 하는 종자식물
※ 목본식물의 생태학적 특성
•온대지방에서 지상부가 살아서 월동이 가능한 식물
교목 관목 덩굴
• 수목의 기본형
수관(樹冠, crown): 햇빛을 향해 넓게 퍼진 부분
수간(樹幹, stem): 굵은 원줄기
• 수목의 특징
-거대성 -> 세코이아 : 키 112 m, 지름 10 m
-장수성 -> 다년생 식물, 5,000년생 소나무류
-생식생장에 저에너지 소모 -> 성숙 후 개화, 결실
-다양한 적응성/저항성 -> 환경에 대한 선택성 없음
•산림, 생활권 수목
왼쪽-산림
오른쪽 – 생활권 수목
생활권 수목은 교란이 생기기 쉽고 스트레스를 받기 쉬움
연습문제
1. 산림의 뜻은?
-나무와 하층식생(下層植生)으로 덮인 넓은 면적의 토지로 집단적으로 자라고 있는 입목, 대나무와 그 토지
2. 우리나라 국토의 62.6%가 산림으로 전세계에서 산림비율이 4위이다.(O, X)
-X
3. 목본식물과 초본식물의 차이점은?
-목본 식물은 유관속 형성층에 의하여 2차 생장을 하는 종자식물
4. 목본식물에 속하는 식물의 유형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 교목, 관목, 덩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