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사의 의미와 우리 민족의 특수성
*사실로서의 역사와 기록으로서의 역사
구분
사실로서의 역사(객관적 의미의 역사)
기록으로서의 역사(주관적 의미의 역사)
역사가
랑케
크로체, 콜링우드, 카
어원
·한자의 역- 겪다, 지나다
·독일어의 geschichte- 과거에 일어난 일
·한자의 사- 기록된 문서, 기록하다
·그리스어의 historia- 탐구를 통해 획득한 지식
관련 정의
·과거에 있었던 사실
·현재에 이르기까지 일어났던 모든 과거 사건
·역사에서의 객관적 진리는 존재한다.
·역사가가 과거의 사실을 토대로 조사하고 연구해 주관적으로 재구성한 것
·역사가의 주관적 가치 판단이 개입되면 역사는 달라질 수 있다.
사관
실증주의 사관(사실 자체 강조)
상대주의 사관(역사가의 해석 강조)
예시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등
·’고려사’의 우왕, 창왕에 대한 평가
·’조선왕조실록’의 광해군에 대한 평가 등
2. 선사 시대의 전개
*구석기 시대
시기
약 70만년 전~1만 년 전
도구(뗀석기)
사냥용: 찍개, 팔매돌, 슴베찌르개, 주먹도끼
주먹도끼
짐승을 사냥하고 가죽을 벗기며, 땅을 파서 풀이나 나무뿌리를 캐는 등 여러 용도에 사용하는 만능 석기
슴베찌르개
주로 구석기 시대 후기에 사용됐으며, 슴베(자루 속에 박히는 부분)가 달린 찌르개로서, 창의 기능을 함
조리용: 긁개, 밀개, 자르개
경제- 수렵(사냥), 채집, 어로
사회- 평등한 공동체적 생활
주거- 이동 생활(동굴, 막집, 바위그늘)
유적지
경기 연천 전곡리
동아시아 최초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발굴, 1978년 미군 병사 보웬이 처음 확인, 모비우스 학설 반박
충북 단양 도담리 금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구석기 유적지(약 70만 년 전)
함북 웅기 굴포리
북한 최초 구석기 발굴 유적(1960~64년 발굴), 네모꼴의 막집자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