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이황의 양명학 비판과 심학적 특성
1)지행합일설 비판과 선지후행관
2)친민설 비판과 배움의 신민설
3)퇴계학을 심학이라고 할 수 있는가?
5. 우계 성혼의 거경궁리의 심학사상
1)천지의 생물지심이 곧 사람 마음
2)진심의 중시와 존심•치심의 요체
3)시중과 권도의 중시
6. 지천 최명길의 주체성과 창조정신
1)본심양지(本心良知)의 함양
2)권도에 따른 주체적인 주화(主和) 주장
3)명분론자들에 대한 비판, 주체적 마음 중시
7. 율곡학의 심학적 계승과 변용
1)이이와 이황
2)이이의 양명학에 대한 대응과 성(誠) 사상
본문내용
우주의 모든 현상은 이(理)와 기(氣)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둘은 서로 떠날 수 없는 관계이며 서로 섞일 수 없는 관계에 있다. 이기론의 전개는 이와 기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느냐 하는 이해 방법에서 달리한다.
1. 리(理)의 의미•특성
리는 모든 사물의 존재와 생성과 관련된 법칙•원리 또는 이치라는 뜻을 나타낸다. 모든 사물은 이러한 이치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소이연지고(所以然之故)는 사물 생성의 필연적인 원인을 나타내며, 사물 존재에 있어서 그것이 그것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기준 또는 표준을 뜻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 표준을 소당연지칙(所當然之則)이라고 부른다.
리는 무형•무위로, 직접 감각할 수 없는 성질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초경험적 특성을 형이상자(形而上者)라고 부른다.
2. 기(氣)의 의미•특성
기는 모든 사물의 존재와 생성과 관련된 질료(質料)•형질(形質)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모든 사물을 이루는 데 있어서 필요한 ‘현상적 요소’이다.
사물을 이루는 현상적인 요소를 형이하자(形而下者)라고 한다. 이는 직접 감각할 수 있고 경험할 수 있는 구체적 성질을 뜻한다. 기는 구체적 생성 현상으로 ‘모이며, 흩어지며, 굽히며 펴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생멸•궁진의 성질도 가지고 있다. 이를 유위•유욕의 특성이라고 한다.
3. 이기의 관계
리(理)의 성격은 모든 사물을 지배하는 원리로써, 무형•무위의 특성을 가진다. 기(氣)의 성격은 모든 사물의 현상적 요소로서, 유형•유위의 특성을 가진다. 이는 생사•궁진 없는 불변의 존재이며, 기는 유형•유위의 특성으로 가변적 생멸•궁진성을 가진 존재다.
이의 존재는 현상적인 기에 의해 그 존재성이 구현되는 반면, 기의 존재는 그 원인•이유로서 이가 있어야 바람직한 존재로 실현될 수 있다.
4. 심성론
이기론을 사람의 마음에 적용해, 심(心, 마음)의 두 측면인 성(性, 본성)과 정(情, 감정)을 분리했다. 그리고 마음이 성과 정을 주재한다고 주장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