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적 조사]
: 혈액을 포함한 조직에서 특정 영양소의 농도 변화, 영양소 대사산물의 변화를 측정하거나 영양소가 관여하는 기능의 변화를 측정하여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방법
*특징
-다른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객관성, 정량적인 결과치를 통해 판정하는 방법임
-신체계측에 의한 변화, 임상적인 징후나 증상보다 먼저 영양부족을 알 수 있는 방법임
-최근 식이섭취에 대한 유용한 자료로 사용됨
-식사섭취조사의 타당도 검증에 활용가능하지만, 특이성이 부족해 다른 조사와 함께 사용해야 정확도 증가함
*종류: 성분검사, 기능검사
<생화학적 검사시료>
*검사시료: 혈액, 소변, 대변, 머리카락, 손톱, 땀, 골수
1. 혈액: 전혈, 혈청, 혈장, 적혈구, 백혈구 등
-혈구: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을 포함하고 있음, 전체 혈액의 약 45% / 버피코트(혈소판, 백혈구)
-혈장: 단백질 효소 포도당 지질 비타민 무기질 이온 등 포함하고 있음, 전체 혈액의 약 55% / EDTA, 헤파린, 시트르산 등과 같은 항응고제 첨가하여 원심분리한 후 얻은 상층액
-혈청: 혈액 채취 후 20~30분 상온 방치 후 1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 혈장에서 피브리노겐을 뺀 것
*주로 공복상태 식후 12시간에 혈액검사 실시하고, 채취 후 분리하여 냉장 냉동보관함
*소량 채취 시 채혈침을 사용함: 헤모글로빈이나 헤마토크리트같이 소량의 경우
2. 소변
-최근 섭취한 식사에 포함되어 있는 수용성 비타민과 무기질의 영양상태 및 신장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함
-영양상태판정에는 24시간 소변 분석이 이상적임: 기상 후 배뇨한 후 8시부터 시작한다면 다음날 8시 전까지 모은 소변
-주로 기상 직후 소변 받아 사용하기도 함
-소변 중 크레아티닌 함량을 분석해 영양소 함량을 보정함
3. 대변
-단백질 영양상태 판정을 위해 질소 배설량 측정
-무기질 및 섬유소의 영양상태 분석에 사용
-최근 장내 미생물 검사에도 사용
<생화학적 검사유형>
1. 성분검사
-시료(혈액 소변 체조직)의 영양소나 영양소 대사물의 양을 측정하는 직접적 검사 방법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