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증상
- 이통: 어린 아동은 귀를 잡아당김
- 고열(fever)
- 화농성 분비물
- 영아나 어린 아동: 울고, 보채고, 아픈 귀를 문지르고, 밤에 큰소리로 울기도 함(누웠을 때 귀의 압력 증가)
- * 만성중이염은 청력상실, 의사소통장애, 이명, 현기증 등을 유발
3. 진단
- 이경으로 보면 고막이 전체적으로 충혈, 팽륜
- 고실계측기로 외이도에 공기압력을 가해서 고막의 변화를 측정
- 3개월 동안 양쪽 중이에 분비물이 있는 아동에게 청력 검사 권장
● 간호
- 상체를 높이고 수유
- 고열 시 해열제 사용: 아세타미노펜, 이부프로펜
- 부종 감소 위해 얼음주머니 적용(heat lamp)
- 부드러운 연식과 유동식 제공(고형식은 씹으면 통증 심화)
- 진통제 투여(따뜻한 점이약)
-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꾸준한 항생제 투여의 필요성 교육(6개월 미만: 진단 불확실해도 항생제 처방 권고 / 6개월~2세: 진단이 확실한 경우 항생제 처방)
- ampicillin, amoxicillin, erythromycin 등
* 고막튜브를 삽입한 아동 돌보기(가족)
- 수술 후 아동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한다.
- 불편하지 않은 선에서 평소와 같은 음식을 섭취한다.
- 아동이 정적인 활동들을 하도록 한다.
- 처방에 따라 귀물약을 넣는다.
- 불편하지 않은 선에서 평소와 같은 음식을 섭취한다.
- 수영 및 물과 관련해서 의료인의 지시를 따른다.
- 물이 귀에 들어가지 않도록 귀마개를 사용할 수 있다.
- 튜브가 빠지지 않는지 확인하고 빠졌다면 의료인에게 알림
- 귀에서 고름이 나오면 새로운 귀 감염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의료인에게 알린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