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 글로벌 음식문화 중간정리본입니다. PPT 내용이 많아서 정리하기 힘듭니다.
22년 1학기에 수강했고, 저는 A+맞았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목차
없음
본문내용
* 식생활 문화적 의미
- 한 사회 또는 집단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양식
- (식품의 생산과 조리를 가공하고, 상차람, 음식먹는습관, 도구와 식기)
- (자연적), (사회경제적)조건 내재
- 문화 속에서 (전승)
** 동양적 관점에서의 음식
1. 道 – 아무리 훌륭한 ‘도’가 있어도 배우지않으면 그 훌륭함을 알지못한다.
2. 禮 – 제기모양, 귀신을 섬겨 복을 얻음
3. 慾 - 욕망, 음식과 남녀에는 사람의 큰 욕심이 존재
4. 本 - 음식은 백성의 근본,
최시형 – 밥은 하나님
김지하 – 사는 것이 먹는 것이고, 먹는 것이 사는 것이다.
밥이 입으로 들어갈 때 하늘을 몸 속에 모신 것
** 봉송 (왕->신하)
- 왕이 식사를 통해 위민정치를 구현했는데, 이는 봉송. 봉송은 상물림이라는 독특한 상 풍습
- 왕이 식사를 마치면 정1품~정9품 관리들이 물려받은 상에서 식사함. 상물림 4시간 걸림.
- 음식 남으면 높은 사람 이외에 사람들은 궁중 음식을 싸가지고 궁궐 밖으로 나갈 수 있음.
** 꾸러미 (신하-> 왕 -> 백성)
- 양반이 평민에게 내리는 밥상
- 세자 책봉, 왕 생일 등 행해진 잔치에서 왕실에 올린 잔치의식이 끝나면 남은 음식을 백성들에게 나누어 줬다.
- 당시의 평민, 노비들은 먹거리를 얻기 위해 투쟁했다. 평소에 먹어보지못한 음식 제공
** 반가음식 (양반의 음식)
- 반가란 양반을 말하며 반가 음식은 한 집안 대대로 내려와 격식과 품격있는 종가의 음식
- 왕의 밥상은 [12첩] / 사대부는 [9첩] (밥,국,김치,장 제외하고)
- 일반 양반가는 7첩 이상
* 노자: 큰 나라를 다스리려면 작은 생선을 바르는 것처럼 해라.
* 걸왕 – 말희-매희(애첩)을 위해 곰 발바닥을 잡아다 줌.
* 탕왕 – 요리사
* 진시황 – 불노초 구함, 근데 일찍 죽음
* 무제 – 사슴 정액 먹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