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이번 2022년도 마미치 강의 수강하면서 강의 화면에 있는 부분
직접 타이핑해서 꼼꼼히 만든 자료입니다!
22년도 2학기 성적 A+ 인증 가능합니다!
믿고 구매하셔도 됩니다 !!
목차
없음
본문내용
< 7주차 - (1) >
1)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실제
(1) DAP(인물화검사)의 개념 및 목적
- 인물화 검사(Draw-A-Person)는 1962년 구다나프가 구다나프 인물화 검사 출판을 시초로 한다. 이후 1963년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의 해리스(D.B.harris) 가 구다나프회사와 공동연구로 해리스의 (Drawwing TEST) 인물화 검사가 완성되었다. 이 검사는 사람을 그린 후 질문을 하여 개인의 성격구조를 통하여 개인의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다.
(2) DAP(인물화검사) 실시 방법
첫째. A4사이즈의 종이와 연필, 지우개를 아동에게 준비하여 준다.
둘째, 아동에게 사람의 얼굴을 그리도록 제시한다.
셋째, 시간제한이 없음을 아동에게 설명한다
(치료사 또는 검사자는 시간기록을 한다.)
넷째, 그림을 다 그린 후 아동에게 그림과 관련된 질문을 하고 기록한다.
다섯째, 질문이 끝난 후 정리하도록 한다.
(2) DAP(인물화검사)
- 사후 질문과정(PDI)에 포함되는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누구의 얼굴을 인가요?
이 사람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나요?
남자인가요? 여자인가요?
이 사람 소원은 무엇인가요?
어떤 때 화를 내나요?
좋은 점은 무엇인가요?
친구가 많습니까?
학교를 얼마나 좋아하나요?
재미있어 하는 때는 언제인가요?
이 그림의 사람을 보면 누구 생각이 납니까?
(3) DAP(인물화검사)의 검사 해석
- 전체적 평가
전체적 인상,조화,구조,이상한 곳은 없는가에 주목하여 어떤 모양의 사람을 그렸는가를 생각해 나가는 것이다. 전체적 평가에서 밝혀야 하는 것은 피험자의 적응수준,성숙도,신체상의 혼란 정도, 자기와 외계에 대한 인지방법을 파악한다.
- 내용분석
무엇을 그렸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내용분석에 있어서는 명백하고 큰 특징을 먼저 다루는데,그림 그린 후위 질문을 실시하여 피험자가 질문에 따라 연상하는 것을 묻는 것이 해석에 효과가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