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병원미생물학의 소개
1-1 바이러스
- 사람에게 감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중 가장작으며, 숙주세포에 의존해야 증식
-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nm단위 사용
- 핵산과 단백질로만 구성, 복제
1-2 세균
- 대표적인 원핵생물
- 대부분 스스로 살아갈 수 있다
- 세포막, 세포벽 핵으로 구성
- 핵막이없으며, 핵산은 DNA와RNA모두 가지고있음
- 항생제에 사멸
- 이분열증식
※ 리케차와 클라미디아는 일반 세균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 숙주세포에 의존해야 증식
1-3 진균
- 광합성능이 없는 진핵 생물
1-4 고대인의 질병관
- 신벌설 : 죽음은 죄의 결과에 대해 신의 형별에 의해서 발생
- 독기설 : 천재지변 등과 같이 지상의 공기가 오염되어 감염병이 발병
- 접촉 점염설 : 환자에게 접촉하면 감염병에걸리는 것
1-5 최초의 미생물발견
- 네덜란드 상인인 anton van leeuwnhoek 최초로 세균을 관찰
- 그가 제작한 현미경에의해서
1-6 자연발생설과 생물속생설
- 자연발생설 : 고기의 즙에서 구더기가 자연적으로 발생된다는 식
- 자연발생설에 대한 이러한 논쟁은 redi의 실험으로부터 200년간 긴 세월 속에 지속
→ 19세기 프랑스의 Louis
Pasteur(1822~1895)에 의해 종식
- 생물속생설 : 이탈리아 내과의사가 수행한 실험결과로 자연발생설 부정하게된 결정적 개기
1-8 우무배지
- 대부분 병원성 세균들은 증식을 위해 더 높은 온도가 요구됨으로 37도에서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지닌 해초의 추출물인 우무의 사용을권장
- petri는 우물배지를 담아 미생물의 배양에 효율적인 용기를 고안(배양 접시)
1-9 인물과 업적
- antom van leeuwenhoek : 최초의 미생물 발견
- E Jenner : 최초의 예방백신 개발
- Mendel : 유전법칙 발표
- Louis Pasteur : 발효연구, 자연발생설
반증, 저온살균법, 세균배양법, 공수병 백신, 탄저균발견
- Lister : 무균적 외과수술법 개발
- Robert koch : 세균 염색법, 동물실험법, 순수배양법, 결핵균, 콜레라균 발견, R리드함 : 자연발생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