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양관리과정(NCP)개념 및 영역
1) 영양판정
∙ 핵심개념: 정보 수집, 확인 해석
∙ 영역: 식사력, 생화학적 자료 및 의학적 처치, 신체계측・영양관련 신체검사 자료, 과거력
2) 영양진단
∙ 핵심개념: 영양문제 규명, 영양진단문 작성
PES를 이용한 진단문 작성
∙ 영역: 섭취영역, 임상영역, 행동영역, 환경영역
3) 영양중재
∙ 핵심개념: 영양처방
영양문제 해결 및 개선 과정
∙ 영역: 식품・영양소 제공, 영양교육, 영양상담, 타 분야와 영양관리 연계
4) 영양모니터링 및 평가
∙ 핵심개념: 환자의 요구, 영양진단 및 영양중재 결과와 표준치 및 영양중재 목표치와 비교
∙ 영역: 식사력, 생화학적 자료 및 의학적 처치, 신체계측・영양관련 신체검사 자료
2. 영양검색(영양스크리닝)
∙ 목적: 영양결핍 또는 영양상 위험이 있는 사람을 신속하게 선별
∙ 대상 및 실시 시기: 입원한 모든 환자, 입원 후 24~72시간 이내 실시
∙ 선별 및 후속처치: 영양위험요인의 기준을 환자의 자료와 비교 후 영양상태가 불량하거나 영양위험도가 높은 환자 선별 후 영양판정 실시
3. 영양판정
1) 식이섭취조사
∙ 양적평가 방법: 24시간 회상법, 식사기록법, 실측법
∙ 질적평가 방법: 식품섭취빈도조사법, 식사력조사법
<중 략>
3) 생화학적 조사
∙ 단백질 영양상태
- 내장단백질: 알부민(간에서 합성, 교질삼투압 유지),
트랜스페린, 프리알부민, 총 단백질 - 근육단백질: 크레아티닌 배설량, 크레아티닌-신장지수, 3-메틸히스티딘 배설량
∙ 지질 영양상태: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 철분 영양상태
-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트랜스페린,
총 철분결합능력, 혈청페리틴(철결핍 초기상태 판정 지표), 적혈구프로토포르피린
- 적혈구지수: 평균혈구혈색소, 평균혈구혈색소 농도, 평균혈구용적
∙ 면역기능: 총 림프구수, 지연형 피부과민반응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