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동학 : 생체가 약물을 다루는 것
> 흡수->분포 ->대사->배설 의 단계를 거침
① 흡수 : 혈장 내 인입을 허용하는 것
② 분포 : 혈류를 떠나 간질 및 세포내 액으로 분포됨
③ 대사 : 간장, 신장 또는 다른 조직에 의해 배설로 가기 위한 형태로 바꿈
④ 배설 : 약물과 그 대사물은 소변, 담즙, 또는 대변으로 제거됨
1) 약물의 투여 경로의 장단점
① 경구투여
- 가장 안전하고 흔하며 편리하고 경제적이다
- 음식물이 흡수에 영향을 미친다.
- 약물이 전신흡수되기 전 대사될 수 있다.
② 설하
- 신속한 흡수
- 투여의 용이함
- 초회통과 대사를 피할 수 있음
- 위장관 자극을 피함
③ 정맥 내 투여 (IV) ♥♥
- 약효가 빠르다. (투여 후 거의 즉시 전신 순환에 도달한다
- 침습적 경로이므로 감염의 위험이 있다.
- 무의식 환자 연하곤란 환자에게 적용가능
- 생체이용률이 높음
- 위산이나 간의 초회통과 약물의 파괴를 피할수 있음
- 약물이 잘못 투여될 경우 다시 회수할 수 없음
④ 근육내(IM)
- 근육내로 투여한 약물은 신속히 흡수되는 수용액이나 서서히 흡수되는 특수한 저장 제제
- 오랜시간에 걸쳐서 지속성 용량을 제공
⑤ 피하(SC)
- 단순확산을 토해 흡수되며 정맥 내 주사보다 다소 느림
- 용혈과 혈전증 위험을 최소화함
- 일정하고 느린 지속작용을 함
- 거대용적의 약물투여에는 적절치 않음
- 인슐린주사
⑥ 피내(ID)
- 진단결정과 탈감작을 위한 약물이 보통 이 경로로 투여됨
- 알레르기반응 검사, 투베클린 검사
⑦ 흡입♥♥
- 신속한 흡수를 일으킴
- 호흡기 질환, 기관지 천식, 만사성폐질환에게 주로 사용함
- 전신부작용을 최소화함
2) 약물의 흡수
투여부위에서 혈류로 약물이 수송되는 것
2-1) 흡수기전
① 수동적 확산
약물의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부위로 이동
- 지용성 약물은 쉽게 통과 가능
- 수용성 약물은 물 통로나 구멍을 통해 세포막 통과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