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감각
1. 특수감각수용기
• 일반감각수용기: 촉각, 통증, 온도, 압통이 피부, 결합조직, 근육 등에 광범위하게 존재
물건이 직접 몸에 닿을 때만 인지
• 특수감각수용기: 혀의 미뢰 (맛봉오리), 코의 후각상피세포, 눈의 망막, 귀의 털세포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처리
→ 특수감각수용기를 지닌 기관이 자극되어 흥분되면 감각신호가 신경을 따라
뇌의 특정부위로 전달됨
2. 안구
• 안구(eyeball): 시각을 담당하는 눈의 구형체
• 안와(눈확, orbital socket): 눈을 둘러싸고 있는 뼈로 이루어진 움푹 들어간 공간
• 누선(눈물샘): 눈물분비, 라이소자임 분비
• 누관(눈물관): 안구를 적신 눈물은 모여서 누관을 통해 비강으로 흘러들어감
• 결막
- 눈꺼풀과 안구의 일부를 덮고 있는 얇은 이음막
• 각막
- 눈에서 흰자위 바로 앞부터 시작되는 원형의 투명한 부위
- 투명한 조직이기 때문에 빛이 일정한 굴절률로 통과
- 유리판을 겹쳐 놓은 것과 같이 납작한 세포들이 5개의 층을 이룸
- 표면에 촉각이나 통증에 반응하는 수용기가 분포되어 이물질이 닿으면 매우 민감하게 반응
- 표면이 손상되면 반흔조직이 생겨 시력이 손실될 수 있음
• 공막
- 안구의 가장 바깥쪽 막, 눈의 흰자위
- 질기고 탄력이 없는 섬유성 피막이 안구의 모양을 이루고 안쪽의 연한 조직을 보호
- 눈을 움직이게 하는 근육인 외안근이 부착
• 맥락막
- 눈의 중간층,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이 지나는 공간
- 빛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짙은 적자색의 색소 함유
• 동공
- 안구의 앞쪽에 있는 맥락막
- 덮이지 않은 원형의 구멍, 빛이 들어옴
• 홍채
- 동공 주변을 둘러싼 색소를 지닌 근육성 조직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