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청각장애 언어재활 4장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 1절 청각기관의 구조
2. 제 2절 청각검사
본문내용
제 1절 청각기관의 구조
- 해부학적으로 외이, 중이, 내이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이를 말초청각계라고 한다. 여기에 청신경과 청각피질 등의 중추청각계를 모두 포함해 전체 청각기관(청각과 평형기능)을 이룬다.
- <표4-1 청각기관의 전체 구조> p96
1. 외이의 구조와 기능
- 외이 : 육안으로 관찰가능한 부분, 귓바퀴(이개)와 외이도로 구성.
1) 귓바퀴(이개)
- 탄성 연골로 된 골격에 피부와 연골막으로 덮여 있다.
- 외측 변연 = 이륜, 위쪽 = 이륜의 각, 아래쪽 = 귓불(이수)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 <그림 4-2 귓바퀴의 구조> p97
2) 외이도
- 귓바퀴에서 고막에 이르는 관.
- 성인의 경우 길이가 약 25~35mm이며 S자형으로 구부러져 있다.
- 바깥쪽 1/3은 연골부, 안쪽 2/3는 골부.
- 신생아는 측두골의 발육이 완성되지 않아 외이도의 골부가 없다.
- 특유의 공명 작용을 갖음.
3) 외이의 기능
첫째, 귓바퀴는 음파를 모아서(집음 작용) 외이도로 전달하고, 외이도는 집음된 소리를 고막까지 전달하는 작용.
둘째, 외이는 방어(고막보호) 기능을 수행.
셋째, 귓바퀴 및 외이도는 공명 작용을 한다.
넷째, 외이는 소리의 방향성 분별에 큰 역할을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