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 -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
- 최초 등록일
- 2022.06.22
- 최종 저작일
- 2022.06
- 41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4,900원4,655원
소개글
"성인간호 -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Chapter 21.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
1) 구조와 기능
2) 자료수집
3) 뼈장애 대상자 간호
4) 관절장애 대상자 간호
5) 근육과 지지 구조 장애 대상자 간호
6) 손과 발 장애 대상자 간호
7) 척추장애 대상자 간호
본문내용
II. 자료수집 근골격계, 신경계, 혈관계에 중점 → 간호사는 출혈 or 호흡곤란 같이 응급상태를 먼저 다룸
1. 주관적 자료
일반적 특성
- 나이, 성별, 키, 체중, 주소, 동거인, 교통수단, 개인 습관, 직업, 문화와 교육수준 등 자료수집
- 70세 이상 노인은 → 퇴행뼈 관절염(골관절염)이, 폐경기 이후 여성은 뼈엉성증이 호발
- 유전질환 or 선천성 기형 등의 가족력 파악
- 환경요인도 가족력에 영향
과거력
- 수술한 경험 여부(수술 이유, 시기, 장소) - 과거 사고, 수술과 관련된 평생의 건강 관련 문제 유무
- 호흡기 문제, 피로, 기동 장애, ADL 장애 같은 다른 건강 문제 여부
- 당뇨, 겸상세포빈혈, SLE(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전신홍반루푸스) 유무
· 당뇨 → 신경성 병변을 초래 → 기동에 영향 초래
· 겸상세포빈혈, SLE → 뼈엉성증과 골수염 유발 가능
- 류마티스 관절염 or 퇴행성 골관절염의 가족력
- 최근 파상풍 or 소아마비 예방접종 경험 여부
- 항경련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NSAID, 이뇨제 등의 투약력, 처방약물·비처방약물 복용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권 | 황옥남 외 | 현문사 |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