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한국어학개론 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제1강. 언어의 정의와 특성
제2강. 대조언어학
제3강. 외국어습득론
제4강. 한국어의 본질과 특성
제5강. 한국어 음운론
제6강. 한국어 형태론 2
제7강. 한국어 어휘론
제8강. 한국어 문장성분과 문장의 유형
제9강. 한국어의 조사
제10강. 한국어의 어미
제11강. 한국어 문장의 기본구조와 확대
2. 의사소통의 구성요소 및 기능
1) 의사소통의 정의: 의도적으로 기호(언어)를 사용하여 상호작용하면서 의미(정보)를 공유하는 과정
*소쉬르는 언어를 ‘기호의 체계’로 규정하고 기호학적 관점에서 언어의 본질을 규명하려고 함.
시니피앙(signifiant, 기표); 기호에 담긴 물리적 형체, 음성표현
시니피에(signifie, 기의); 기호와 관련하여 일어나는 정신작용, 의미내용
2) 의사소통의 구성요소(6가지)
발신자 → 맥락(전달이 일어나는 상황), 메시지(전달되는 의미 내용), 기호(신호체계), 접촉(심리적/물리적 환경)→ 수신자
발신자는 먼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일정한 기호로 작성(encoding)하여 수신자에게 보내면 수신자는 그 메시지가 담긴 기호를 해독(decoding)한다.
3) 의사소통의 기능
Roman Jakobson(로만 야콥슨); 의사소통과 관련된 요소 중 어느 것에 중점을 두는가에 따라 언어의 기능(의사소통의 기능)을 여섯 가지로 설명함. (상황에 따라 6가지 기능의 여러 기능이 복합적으로 나타남. 모든 언어 발화들은 6가지 기준으로 명확하게 분류되지는 않으며, 하나의 발화가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
① 정보전달기능 (=제보적 기능, 지시적 기능)
: 새로운 것을 알리고 전달하는 정보제공의 기능. 의사소통 도구가 되는 언어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 개념적 의미가 중시됨. 맥락을 지향한 언어 활동 기능(사람/사물에 대한 지시, 시간/공간 지시)
- 부부간 대화를 많이 하는 것이 좋아요. (사춘기 자녀와 대화할 때)
- 장염에 걸렸을 때는 물을 자주 드세요. (아파서 병원에 갔을 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