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캡슐레이션 = 계층4->3->2->1로 보내면서 데이터에 헤더가 붙는 것 (헤더 + 데이터를 PDU라 함)
디캡슐레이션 = 계층1->2->3->4로 보내면서 데이터에 헤더를 제거하는 것
헤더 정보는 각 계층끼리 전달된다.
1.현재 계층 정보
2.상위프로토콜 지시자
MSS = 데이터가 4계층으로 내려올 때 쪼개질수록 유도하는 값
MTU = 네트워크에서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데이터크기
MTU는 2계층 데이터 값, MSS는 4계층 최대데이터 값
LAN = 사용자 내부 네트워크
MAN = 도시 정도 거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WAN = 국가간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전송 선로 공유는 속도를 보장하지 않는다.
전용 회선은 대역폭을 보장한다.
LLCF = 한쪽링크 다운 시 반대쪽도 다운 시킴
VPN = 가상으로 직접 연결한 효과를 내는 기술
DWDM = 하나의 광케이블에 여러 채널을 만듦
PTP = 가입자와 통신사업자간에 직접 케이블 연결
AON = 가입자의 적절한 위치에 스위치 배치함
PON = 광케이블로 최종 사용자에게 신호 전달
랜카드 주요 역할 = 직렬화, MAC주소, 흐름 제어
랜카드는 NIC라고도 함.
현재 대중화 된 이더넷 표준은 10기가비트 이더넷
케이블은 STP, FTP, UTP로 구분된다.
광케이블은 싱글모드, 멀티모드로 구분된다.
트랜시버 = 외부 신호를 컴퓨터 내부 전기 신호로 바꾼다
허브 = 단순히 들어온 신호를 모든 포트로 내보낸다. 패킷순환 문제 발생 가능 때문에 최근엔 안쓴다
스위치 = MAC주소를 사용해서 목적지로만 신호 전송함
라우터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 씀.
로드밸런서 = 포트주소 확인 및 IP주소 변경 가능
방화벽 = 패킷을 정책과 비교해 버리거나 통과시킴(포워딩)
유니캐스트 = 1 : 1 통신
브로드캐스트 = 1 : ALL 통신
멀티캐스트 = 1 : 특정그룹 통신
애니캐스트 = 가장 가깝거나 효율적인 호스트와 통신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