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페인
2. 스페인 경제
3. 스페인 쇠퇴
4. 스페인 건축문화
5. 스페인 음식문화
6. 스페인 축제문화
7. 플라멩코와 투우
8. 중남미 개관 및 고대문명
9. 중남미의 식민지화와 현대중남미
10. 현대 중남미세계
11. 멕시코 혁명 및 벽화운동
12. 탱고
본문내용
무데하르, 쁠라떼레스코 중요
로마령 스페인: 로마 수로교, 원형극장 아랍령 스페인
- 코르도바 메스티카(대사원): 서고트의 아치형, 메카의 양식+이교도 교회의 주춧돌, 기둥양식=동, 서양의 융합(이슬람+기독교)
- 사라고사-알헤페리아궁전: 무데하르 양식(문화 융합)
- 세비야-히랄다탑: 뾰족한 아치형 양식(독특 -> 고딕+메카)
- 그라나다-알함브라 궁전: 최고의 이슬람 사원, 붉은 성이란 의미, 아랍 건축 양식의 절정(공간, 빛, 물의 조화), 역설적, 퇴폐적, 세기말적 호화 장식,
천장: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간 모카라베 양식, 종유석 느낌
벽면: 기하학적(선, 원)+나무, 화초 추상화+알라의 위대함(코란), 아치(기독교)
사자의 정원(12마리 대리석 사자상, 햇빛), 헤네랄리페 정원(이슬람 왕조의 여름별장, 파티오 양식) 이슬람 건축-파티오 양식: 신대륙 교회 건축양식에 영향을 미침, 야외 의식에 익숙한 인디언들의
개종에 유리, 카톨릭 개종을 위해 이슬람의 건축양식 채용
로마네스크(10~13)-고딕(12~15)-르네상스(15~16)-바로크(17~18)-모더니즘(19~)
로마네스크: 로마의 건축구조(실용성)에 기반을 두고 육중하며 굵은 기둥, 두꺼운 벽, 둥근 아치, 장식적인 아케이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첨탑, 수직적이고 느낌(천상으로 향하는 신앙심), 스테인글라스, 고딕 양식: 뾰족한 직선적인 / 세비야 대성당=고딕 양식의 절정(알모아데+고딕), 메스키타 / 알카사르 성: 이슬람세력이 대항 하기 위함
무데하르식 건축(13~16): 스페인에서만 발달한 이슬람풍의 기독교 건축양식
플라테레스크 양식 : 건물의 구조적 형태 보다는 건물 표면에 이용된 복잡하면서 화려한 장식이 특징
살라망카 대학 르네상스 양식:
- 복고주의: 그리스 로마의 미학을 이상적으로 여김, 고전주의의 재생 -인본주의: 신 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 합리적, 객관적 법칙 추구, 수학적 법칙
- 이탈리아 건축양식(질서, 균형, 조화)+독자적인 양식의 발전 -플라테레스크 양식: 살라망카 대학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