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제회-사례해설 03 '선례에 반한 영업정지처분 사건'-Magic 사례연습 경찰행정법(1권)
매직행정법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출 판: 도서출판 위민 동행북스제 목: Magic 사례연습 경찰행정법_1권
시 험: 경감승진ㆍ육경간부ㆍ해경간부 주관식 경찰행정법 시험대비
저 자: 심민
출 간: 법령개정, 판례변경 등에 따라 수시로 수정ㆍ보완 업데이트
면 수: 401페이지
제 작: Google Docs 전자책
제 공: PDF 파일제공 및 Google Docs 뷰어권한 부여
들어가며
- "경찰공제회 사례를 훔치는 마법을 전수해 드립니다."
- 셤 붙이는 쌤, 매직쌤! 민쌤(min-ssam)입니다!
“이 책 한 권이면 주관식 경찰행정법은 끝난다”는 자신감과 희망을 안겨주는 그런 교재가 바로 본 교재가 되기를 바랍니다. 본서를 통해 더 이상 경찰행정법에 대한 답답함이 없기를 기대하며, 경감승진 및 (해양)경찰간부후보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더 없는 훌륭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
경찰공제회 사례를 가장 처음으로 해설한 교재
경찰행정법 기출사례를 가장 정확하게 풀이한 교재
경찰행정법 기출사례를 가장 알기쉽게 설명한 교재
경찰행정법 기출사례를 가장 확실하게 압축한 교재
교재내용
경찰공제회 사례문제의 마법을 풀어라 !!
① 본 교재는 경감승진 및 (해양)경찰간부후보 시험대비 목적으로 '경찰공제회 사례'를 해설한 교재로서, 이제까지 모든 사례문제를 수록하였고 최신법령 및 행정기본법을 반영하여 작성되었습니다.
② 본 교재는 'Magic 답안작성용 경찰행정법(사례연습.4판)'의 1권으로 25개 사례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습니다.
③ 본 교재를 활용하여 동행TV 유튜브 채널에서 '경찰공제회 사례해설(랜선야학)' (무료)강의를 수강한다면, 고득점 합격을 위한 확실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그 외 경찰행정법 이론학습을 위한 '마인드맵' (경찰)행정법 이론강의를 함께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MAGIC 기출연습 경찰행정법(3판)」과 함께 학습하시면 더욱 시너지 효과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써 ‘주관식 경찰행정법’ 사례문제 대비는 충분하다고 감히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모든 기출사례마다 사건명을 부여하여, 학습효과를 배가하였다.
'Magic 기출연습 경찰행정법(경감승진ㆍ육경간부ㆍ해경간부 기출해설)' 교재와 병행학습이 가능하도록, 답안의 100% 호환성을 기하였다.
답안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① 문제점 ② 학설 ③ 判例 ④ 검토」를 모두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개정된 최신법령을 문제 및 답안에 전수 반영하고, 행정기본법을 답안에 포함하였다.
목차
Ⅰ. 3개월 영업정지결정Ⅱ. 총리령 [별표]
1. 법규명령 형식의 행정규칙
2. 「법규명령 형식의 행정규칙」의 법적 성질
Ⅲ. 설문⑴의 해결
1. 문제점
2. [별표]를 법규명령으로 보는 경우
3. [별표]를 행정규칙으로 보는 경우
4. 설문⑴의 해결
Ⅳ. 설문⑵의 해결
1. 문제점
2. 협의의 소익
3. 협의의 소익 부인사유
4. 「법률상 이익」의 의미 - 「행정소송법 제12조 제2문」
5. 「법률상 이익」의 인정범위 - 「행정소송법 제12조 제2문」
6. 설문⑵의 해결
Ⅴ. 설문⑶의 해결
1. 문제점
2. 소송형식
3. 민사법원과 선결문제
4. 설문⑶의 해결
본문내용
Ⅰ. 3개월 영업정지결정① 3개월 영업정지는 정지기간 중 영업행위 금지의무를 부과하는 부작위하명으로서 경찰하명에 해당하며 ② 이것은 명령적 행정행위로서 실체법적 개념설 및 쟁송법적 개념설 중 어느 견해를 따르더라도 경찰처분에 해당하고 ③ 식품위생법 제75조 제1항은 가능규정을 두고 있는바 경찰재량행위에 해당한다.
Ⅱ. 총리령 [별표]
1. 법규명령 형식의 행정규칙
[별표]는 그 내용이 제재처분의 기준을 정하는 행정규칙임에도 불구하고, 그 형식이 총리령 형식으로 제정되었는바,「법규명령 형식의 행정규칙」에 해당한다.
2.「법규명령 형식의 행정규칙」의 법적 성질
⑴ 문제점
「법규명령 형식의 행정규칙」은 그 형식과 내용이 불일치한다는 점에서, 그것을 처분의 위법성 판단기준이 되는 법규명령이라고 볼 수 있는지 문제된다.
⑵ 학설 및 判例
학설은 ① 형식을 중시하여 법규명령으로 보는「법규명령설」② 실질을 중시하여 행정규칙으로 보는「행정규칙설」③ 법률의 수권이 있는 경우에 법규명령으로 보는「수권여부기준설」이 있다.
判例는 ① 주택건설촉진법 시행령은 법률의 위임규정에 터잡은 대통령령이므로 대외적으로 국민이나 법원을 구속하는 힘이 있는 법규명령에 해당한다고 보면서도 ②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은 형식은 부령으로 되어 있으나 그 성질은 행정기관 내부의 사무처리준칙을 정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행정명령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지 대외적으로 국민을 기속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여 행정규칙으로 보았다.
⑶ 사안의 검토(수권여부기준설)
생각건대, 수권이 없는 경우까지 그 법규성을 긍정하게 되면, 헌법 제75조 위임입법의 취지에 반하게 된다는 점에서, 수권여부기준설이 타당하다. 식품위생법 제75조 제5항은 총리령에 대한 수권규정을 두고 있는바, [별표]는 법규명령에 해당한다. 다만, 判例에 따르면 행정규칙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