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범죄의 정의
a. 사이크스의 정의
: 범죄란 사회규범에 대한 하나의 위반행위이며, 법이 금지한 행위를 위반한 것이다. 그리고 또 마음의 병을 표현으로 보일 수도 있으며, 사회적 긴장 관계의 증표로서 해석될 수 있다. 그렇지만 범죄는 기본적으로 단순한 개념이어서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의미는 포함하고 있지 않고 인간이 살고 있는 사회의 법 규범을 위반한 행위에 불과하다.
*사회는 여러 규범에 의하여 통제됨
*범죄를 통제하는 규범의 주요 유형
(1)실정법/(2)습속, 관습, 관습법
b. Edwin sutherland(서덜랜드) & Donald cressey(크래시)의 범죄학 정의
: 범죄학은 사회현상으로서의 범죄에 관한 지식의 집합, 법률형성, 법률위반에 대한 반응 등의 과정을 포함하며, 범죄학의 목표는 이러한 법률, 범죄, 처우 등의 과정에 대해 일반적이고 검증된 원리와 기타 관련 지식을 발전시키는 것.
(원인 ->결과 -> 대책)
c. 비행의 개념
-광의로는 모든 반사회적 행위를 포함하는 개념
-협의 개념을 일반적으로 소년비행의 개념
-비행은 반사회적, 법률적으로는 소년에 한정되어 있다.
-형식적으로는 법에 규정되어있는 구성요건을 가진 행위를 비행이라 함.
*영은 사회적으로 붕괴의 위험성이 있는 행상 내지 인격적 태도라고 정의함.
*글륙크는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 있어 법 규범 및 법률에 위반되는 청소년의 행위라고 함.
2. 범죄의 원인론
a. 생물학적 범죄 원인론
b. 범죄자의 정신분석학적 원인론 = 범죄심리학적 원인론
c. 사회학적 범죄원인론
David Abrahamsen(아브라햄)의 범죄 공식
T – 성향 (개인적 성향)
S – 환경
R – 정신적 반항심
a. (생물학적)롬브로조의 실증이론/신체생리적 특성에 초점을 둔 이론/유전의 원인과 결과/염색체 이상과 범죄/신경정신적 기능과 범죄(뇌의 이상과 범죄)/지능적 결함과 범죄/정신적 결함과 범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