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간호 강의 노트 입니다.
Chapter 1~Chapter4 내용입니다.
Chapter4 신체적 노화와 건강문제에서는
피부계, 근골격계, 심혈관계 밖에 없음을 확인해주세용~
목차
1. 노인건강간호의 이해
2. 노화와 건강 문제
본문내용
노인(elderly)
- 통상적으로 나이를 기준 → 고령자 or 노인 범위는 법규에 따라 상이하지만 대부분 인구지표 및 국가 간의 통계자료 비교에 있어 65세를 기준
노인인구의 증가
- 평균수명 연장, 노인인구 ↑ 현상이 세계 각국에 발생 → 우리나라: 공중위생 향상, 의학기술 발전, 영양증진에 따른 평균수명의 연장, 영·유아 사망률 ↓(, 개인 평균소득 ↑)
등의 영향 ⇒ 노인인구 비율이 급속도로 ↑
- 2017년. 주요 국가 인구 성장률에 대한 UN 인구추계: “2060년이 되면 주요 국가들이 저성장 or 마이너스 단계에 진입”
- 65세 이상 노인인구 → 한국이 2015년 일본, 이탈리아, 독일 보다 낮았으나(노인인구 13.8%) ⇒ 2065년에 이탈리아, 독일보다 높아질 전망
- 우리나라: 46.1%까지 ↑ →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가 될 예측
인구 구조의 변화
- 우리나라 인구학적 변화 가장 큰 특징: 저출산, 고령화 현상
- 고령화 원인: ① 저출산으로 인한 젊은 연령층 ↓, ② 의료 발달 → 인간 수명 연장
- 65세 이상 노인인구 > 14세 이하 연소 인구 증가율 → 연소 인구, 생산 인구, 노인인구의 상대적 구성비를 변화 30~50대가 두터운 항아리 형태 → 2060년에는 고령화로 60대 이상이 두텁게 변화
기대수명의 연장
- OECD 회원국 간 성별 기대수명 → 우리나라(2018년) 남성 기대수명: 79.7세, OECD 평균보다 1.6년 ↑ / 여성 기대수명: 85.7년, 평균보다 2.3년 ↑
-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국가: 남성 → 스위스(81.6년), 여성 → 일본(87.3년)
- 우리나라 평균 기대수명 → 82.7세(2018년). 남녀 간 차이 6.0세(2020년 5.8세; 남성 사망률 ↓ 속도가 여성보다 빠르기 때문) ⇒ 2030년 5.1세, 2040년 4.4세, 2067년 3.2세로 계속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