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탄수화물
- 자연계에 가장 풍부
- 정의: 2개이상의 –OH + 하나의 –CHO/–CO를 갖는 화합물
- 일반식: (CH2O)n
- 동물의 에너지 공급원, 1g 당 4kcal, 탄소 중 50%이상이 탄수화물 형태
2. 당질의 특징
- 단당류가 근본이 아니다.(단당류만 에너지로 쓰이지 않는다.
- 대부분 자연계에서 ‘복합당질’로 존재, 기능수행
- 복합당질 종류: 다당류, 당단백질(호르몬, 응집원/응집소), 당지질, 글리코사이드(배당체),
뮤코폴리사카로이드(히알루론산), 핵산
3. 당질의 분류
- 단당류: 3탄당~7탄당
- 이당류
- 올리고당류: 3당류~10당류
- 다당류: 단당류와 이당류
↪ 동질다당류/ 이질다당류
- 당접합체: 당단백질, 당지질
1장. <탄수화물>
1. 단당류
1) 단당류의 구조와 종류
(1) 당질(단당류)의 구조상의 표현
① Fisher projection: 직선형 (straight chain)
- 수용액에서 1% 미만
② Haworth projection: 고리형 (simple ring)
- 결합각도, 결합길이 나타냄
- 수용액에서 99% 이상
- α/β - 아노머 형성
- 6각형: 피란/ 5각형: 퓨란
- 헤미아세탈 결합: 알데히드기 + 알콜 (결합 시 –OH에서 수소 떨어지고 탄소와 이중결합을 이룬 O의 결합을 끊어 –OH로 결합한다.)
헤미케탈 결합: 케톤 + 알콜
* Anomeric Carbon: 헤미아세탈이나 헤미케탈 반응을 형성하여 두 개의 산소원자와 결합하는데 관여하는 탄소 (ex- 글루코오스에서는 C1)
* 변광회전
- 광회전성(광학활성)을 가진 물질을 녹여 용액으로 했을 때 고유 광회전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현상
- 수용액 중 단당류는 α,β 구조가 상호전환 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당류의 광학활성이 변화함.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