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소프트 파워(1990) 부상
소프트파워= 권력에 대한 새로운 이해
예를 들어“오늘날 SNS 발전이 정치 권력과 무슨 관련이 있나?”를 생각해 볼 것
EX)아랍의 봄, 트위터를 통한 정치가의 소통
소프트파워-네트워크-커뮤니케이션
전통적 방식의 ‘정무외교’= 각국 외교관과 외교관의 네트워크 중심=좁은 영역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외교부-“국민 공공외교 프로젝트”=비국가 행위자도 외교활동에 참여 가능=오늘날 각국 민간분야간 ‘새로운 네트워크’
네트워크 장치는 한국의 소프트 파워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외교부는 다양한 분양에서 공공외교를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부각되는 K-POP의 확산은 전세계의 네트워크 정책을 추진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
P.19 공공외교의 범위
공평할 공-숨김없이 드러내 놓다
소통외교- 1차 세계대전은 비밀과 폐쇄의 한계, 지금은 개방과 참여의 시대
한가지 공-함께
12.소프트 파워 논의의 출현 배경
배경-1980년 후반, 미국은 하드파워의 쇠퇴는 사실이나 소프트 파워 측면에서는 여전히 강하다고 보았음.(바운드 투 리드 1991 nye)
13. 소프트 파워 논의의 출현 배경-911테러와 이라크전쟁
9.11 테러 이후 부시 행정부의 ‘테러와의 전쟁’ 선포, 이라크 전쟁의 개입 논리와 정당성에 대한 국내외적인 비판이 제기됌.
14. 소프트 파워의 세가지 개념(nye)
문화-다른 가치체계에 대한 존중
외교-소프트파워와 공공외교에 대한 노력
정치적 가치-민주주의, 인권, 개인주의 등
15. 워싱턴 컨센서스
냉전 이후 미국과 IMF,Worldbank 등이 미국식 시장경제체계를 개도국의 발전모델로 삼게된 합의
미국 정치경제학자 john williamson(1989의 10대 방안을 기조로 함.
1. 사유재산의 보호 2.정부규제의 축소 3. 국가 기간산업들의 민영화 추진
4. 외국 투자잦본에 대한 규제 철폐(직접투자) 5. 무역자유화와 시장의 개방
6. 환율제도의 경쟁력 강화(시장경쟁원리에 따른) 7. 자본시장의 자유화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