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어학
1. 국어에 대한 이해 (몽골어, 터키어, 퉁구스어)
· 언어와 문화 : 불가분 관계 X, 문화 발전도와 언어 복잡성 관계 X, 종족과 언어 관계 X
· 언어 기능 : 표현(의사소통 정보전달), 표출(감정), 감화(명령 지령 요구 설득), 사교(유대관계), 미적(감정+개념)
· 언어 특성 : 사회성(약속, 불역), 자의성(우연), 역사성(발전, 가역), 기호성(일정한 형식), 체계성(규칙, 문법)
창조성(상상, 무한), 추상성(공통 속성을 뽑아내어 개념화), 분절성(불연속적, 시간, 사계절)
· 어휘 특징 : 다량 한자어 유입, 높임법 감각어 상징어 발달
· 국어 문법 : 형태적 특성(조사 어미 발달, 교착어 첨가어, 유무정 명사, 분류사-의존명사)
통사적 특성(주어-목적어-동사, 수식어-피수식어, 자유어순, 주어 목적어 쉽게 생략, 높임법 발달)
언어습득이론
경험주의
행동주의, 후천적, 하나 언어 배우면 자유롭게 구사
합리주의
선천적, 유전적, 인간만 언어, 누구나(균일성), 완전히(통달성), 복잡성 추상성 창조성
<중 략>
3. 현대문학
1. 현대문학의 이해 / 3분법(서정-시, 서사-소설, 극-희곡) - 4분법(+교술-수필)
· 문학 요건 : 감동성, 평이성(쉬운 말), 쾌락성, 언어성(언어의 미적), 개연성(있음직한)
· 문학 기원 : 심리학적 기원(예술 충동, 모방, 유희, 자기과시), 발생학적 기원(실생활의 요구, 실용성), 제천의식설
· 창가 : 찬송가(서양 악곡), 현실 비판, 독립 애국, 신문명 신교육 / 최남선의 경부철도 노래 한양가
1910년대
계몽 쇠퇴, 서구문화 수용 / 자유시, 신체시, 신소설
1920년대
31운동X, 퇴폐풍조, 감상주의, 낭만주의 / 국민문학, 프로문학, 계급문학(카프), 서정시
김소월 진달래꽃 초혼,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임화 우리 오빠와 화로, 한용운 님의 침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