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축 생산 3대관리목표
원가관리, 공정관리, 품질관리
2. 건축 생산 3S시스템
전문화(Specialization), 단순화(Simplification), 규격화(Standardization)
3. 프로젝트의 전개과정
프로젝트 착상 및 타당성 분석 → 설계 → 구매 및 조달 → 시공 → 시운전 및 완공 → 인도
4. 공사계획의 일반적인 순서
현장원 편성 ▶ 공정표 작성 ▶ 실행예산의 편성과 조정 ▶ 하도급자의 선정 ▶ 가설준비물의 결정 ▶ 재료의 선정 및 노력의 결정 ▶ 재해예방
5. 건설공사 전산관리시스템
CIC : 설계시공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컴퓨터와 자동화 기술들을 이용하여 생산을 돕는 개념
CALS : 건설업에서 기획, 설계, 시공 등의 전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통합정보시스템
PMIS : 건설업에서 발주자, 감리자, 시공자, 협력업체가 공사에 관련된 각종 제반정보를 종합하여 공유함으로서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전달을 하는 전산시스템
6. BREAKDOWN STRUCTURE
① 작업분류치계 (WBS)
② 조직분류체계 (OBS)
③ 원가분류체계 (CBS)
7. 클레임의 유형
① 공기지연
② 현장공사 조건의 변경
③ 공사비 지불지연
④ 도면과 시방서의 불일치
8. 계약분쟁 해결방법
① 합의 ② 조정 ③ 소송
9.도급공사의 종류
① 공동도급 : 2개 이상의 업체가 임시로 결합, 조직, 공동출자하여 연대책임하에 공사를 수급하여 완성
② 실비청산보수가산도급 : 양심적인 공사를 기대할 수 있으나 공사비 절감 노력이 없어지고 공사기일이 연체되는 경향이 있다.
③ 턴키도급 : 모든 요소를 포괄한 도급계약. 주문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조달 및 완수한다
④ 공구별분할도급 : 도급업자에게 균등한 기회를 주며, 공기단축/시공기술향상 및 공사의 높은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⑤ 정액도급 : 공사비 총액을 확정하여 계약하는방식으로, 공사발주와 동시에 공사비가 확정되고 관리업무를 간편하게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