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6장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2. 제7장 중세의 교육
3. 제8장 문예부흥기와 종교개혁기의 교육
4. 제9장 근대교육의 태동: 17~18세기의 교육
본문내용
<제6장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 서양: 고대 · 중세 · 근대 · 현대
* 교육 – 제도(학교) 선발, 양성/사상
* 그리스 – 스파르타와 아테네(자유교육)
1. 고대 그리스의 사회와 문화
- 유럽 교육의 맹아로서의 그리스 교육
- 하나의 국가가 아닌 폴리스의 집합체, 범 그리스적 문화 형성 (언어: 그리스어 · 올림푸스: 올림픽 등)
- 현세적 · 인간중심적(교육의 발달), 인간적인 신 개념: 자연질서 탐구, 예술 · 과학 · 철학 발달, 자유민의 삶 향유
- 농업 중심의 스파르타, 상업 중심의 아테네 중심으로 발전
2. 고대 그리스의 교육
① 선사시대
- 공식적인 교육체제 없음
- 「일리아드」 아킬레스에게 말과 행동 교육, 변론과 무술이 중요한 내용
② 스파르타
- 농노와 반자유인, 10%의 자유민으로 구성, 자유민은 농노와 반자유인 지배
- 국가 · 군사력에 의한 통제, 자유인은 군인으로 복무할 의무, 신체적 강인함과 엄격한 규율 중시 참정권 행사 가능
- 출생 후 신체검사, 7세 이후 부모 떠나 각종 훈련, 18세 에페보스(훈련병), 20세까지 군사훈련, 20-30세까지 군복무, 30세 이후 결혼 및 참정권 행사 가능
- 군사적 효율성을 목적으로 하는 스파르타는 교육보다는 훈련에 가까웠음, 여자에게도 건강한 모성위한 교육 실시
- 아동의 개성 말살, 문학과 예술 쇠퇴, 삶에 대한 안목 부족
③ 초기 아테네
- 초기에는 농업 중심이었으나, 귀족정치체제가 확립되고 그후 상업 중심국가로 바뀜
- 부유한 평민에게 참정권을 부여하여 민주주의로의 길을 열고 그후 모든 자유민이 동등한 권리를 가지는 민주주의 정치체제가 완성
- 솔론의 교육에 관한 최초 입법: 모든 남자아이가 수영과 읽기 배워야, 학교(문자교육과 체육을 위함)와 체육관의 운영 규정 제정 및 감독관 파견
- 스파르타와 달리 교육의 책임이 부모에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