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약대 약물치료학4 기말고사 공부자료입니다.
약물기전, 진단, 치료가이드 (국내, NCCN) 따라 정리한 파일입니다.
매우 컴팩트하며 (7페이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있습니다.
보시기에 편하실거라 자부합니다.
목차
1. 대장암
2. 조혈모세포이식 (종류, regimen, 전처치요법, 독성치료, 합병증)
3. 혈액암 I & II (AML, ALL, CML, CLL, 호지킨림프종-HL, NHL 별 치료, 진단)
본문내용
※ 호지킨림프종(Hodgkin Lymphoma (HL)) → 고형암과 비슷, 젊은 환자에서 많으나 비호지킨보단 드문 편임
분류
사실상 Classical 호지킨림프종이 다수임
병태
EBV와 연관 + Reed-Sternberg 세포(부엉이눈, 크고 다핵, 여기서 EBV관찰)가 CHL와 직접연관
인자
첫째고 자매없고 아싸면.... 가능성 큼... 그 외 EBV & HIV
증상
진행양식 : 림프절에서 병이 첨 발생하고 → 인접한 림프절 영역으로 ‘규칙적으로’ 진행(NHL은 비규칙적)
병변부위 : 횡경막 위쪽 발생이 8할 이상 → 경부, 목부 or 어깨 or 겨드랑이쪽에 흔히 발생
mediastinal(종격동)에도 발생 가능, 이 경우 가래없는 기침과 이질감(불편함) 발생 가능
B symp : a. 이유없는 열(>38) b. 극심한 야간발한 c. 진단 6개월 전 안에 10% 이상의 몸무게 감소
→ 셋 중에 하나만 있어도 B symp라고 부름 +) bulky하다 = mass가 10cm 초과한다
진단
lymph node biopsy 필수, Ann Arbor staging으로 구분함 (A는 B symp X, B는 B symp O)
IA/IB
node 하나에만 침범
IIA/IIB
2개 이상 node에 침범 or 횡경막을 경계로 위든 아래든 한쪽에만 침범(오조억개라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