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토정보공사(LX) 지적학 단권화 공략집 (한글파일)
- 최초 등록일
- 2021.04.08
- 최종 저작일
- 2021.04
- 3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8,000원
소개글
아주 깔끔하게 작성하였으며, 책 구매하지 마시고 이것만 보셔도 거의 모든 출제 문제 대비 가능합니다. 지적측량 과목 대비 책에서의 불필요한 부분 들을 정리하고 직접 만든 소중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적과 토지의 정의
2. 지적의 어원
3. 지적의 기원
4. 지적의 발생설
5. 우리나라의 지적 역사
6. 외국의 지적 제도
7. 지적의 기본 이념 및 구성요소
8. 지적의 기능과 성격 (대충 보기)
9. 토지등록 및 공부
10. 도면의 제도 (지적업무처리규정 보고 수정 필요)
11. 토지등록사항
12. 면적
본문내용
1. 지적과 토지의 정의
- 토지는 생산성, 상품성, 자본성, 위치성 등의 특성으로 지표는 물론 지상/지하의 모든 공간적인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토지는 “국유원칙”에서 출발하여 사적인 소유(사유재산)를 허락하게 되면서 경제성의 개념이 부각되어 토지의 가치와 재산의 관점을 최대한 고려한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토지는 위치의 고정성과 가치성 및 상품성을 가지고 지표, 지하, 지상에 존재하는 모든 공간을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의 경제성을 원칙을 최대한 고려한 최유효 이용을 위한 기초재화이다.
- 학자 J. L. Henssen : 지적은 특정 국가나 지역 내에 있는 재산을 지적측량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리해 놓은 공부이다 / 지적은 토지의 일필지에 대한 크기와 본질, 이용 상태 및 법률관계 등을 상세히 기록하여, 별개의 재산권으로 행사할 수 있도록 지적측량에 의하여 대장과 대축척 지적도에 개별적으로 표시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 토지는 지표의 한 지역으로, 지하공간의 물, 토양, 암석, 미네랄, 탄화수소, 지상의 공기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 학자 R. Barlowe : 토지는 공간, 자연, 생산요소, 소비재, 위치, 재산, 자본이다
- 학자 S. R. Simpson : 지적이란 과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국가의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가격/수량을 등록하는 제도이다
- 학자 J. G. McEntyre : 지적이란 토지에 대한 법률상 용어로서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부동산의 크기와 가치, 소유권에 대한 국가적인 장부에 대한 등록이다
* 지적의 법률적 용어의 정의 : “구 지적법”은 1950년에 제정되어 공포 및 시행되었으며, “토지에 관련된 정보를 조사/측량하여 지적공부에 등록/관리하고, 등록된 정보의 제공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효율적인 토지관리와 소유권의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규정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