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가 소개 및 시대적 배경
2. 작품 해석 및 정리
3. 작품이 지니는 의의, 한계, 시사점
본문내용
신고전주의 Background
- 자연 = 전형적, 보편적 영속적인 것 (삶의 본질)
- 자연을 따르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고대인의 지혜는 사실상 자연과 같으므로 자연을 따르는 것은 고대인들의 권위를 인정하며 그 규칙에 충실한 것
- 질서, 형식, 조화
- 신고전주의 : 인간의 영역은 한계가 있고 그 이상 넘어가는 것은 오만이라고 생각했으며 보편적인 experience를 중요하게 여겨 개인적인 경험, 새로운 것을 하려고 하지 말고 예전 것을 통해 배우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다.
포프(Alexander Pope 1688~1744)와 존슨(Samuel Johnson 1709~1784) 등에 의해 주도되었던 신고전주의의 시대는 정확히 계몽주의(Enlightenment), 합리주의의 시대와 겹친다. 신고전주의자들은 봉건제의 균열, 기술과 산업의 발달, 시장의 확대, 근대 시민계층의 형성의 와중에서 혼란과 타락의 와중에 빠진 영국사회에 대한 풍자와 비판을 그들 문학의 주요 아젠다로 삼았다. 계
몽주의 시대의 첨병답게 그들은 이성(reason)과 합리성을 중시하였으며, 도덕률(morality)을 중시하였다. 그들은 도덕적 우위에서 비이성적, 비합리적 영국사회를 풍자하고 야유하였다. 그들은 또한 문학적 표현과 사회적 풍습에 있어서 절제(moderation)와 격식(decorum)을 중시하였다. 그리하여 내용상으로는 1) 이성과 도덕성에 근거한 사회 풍자를, 2)형식상으로는 영웅시체 2행 연구(heroic couplet)라는 엄격한 시 형식을 고수하였다.
An essay on criticism
- 비평가에게 필요한 것은 자신의 한계를 아는 것 (자신의 능력 범위를 알고 작품을 평가해야 함) + 감식력 (true taste)을 갖춰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일단 자연 따라야함
- 자연의 원리를 따라야 함 / 자연은 보편적이고 이상적이므로 시인과 비평가 모두가 따라야 함
- 이러한 이상은 wit와 judgement의 상호보완적인 조화를 통해 실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